경제·금융 경제동향

임대차법 후폭풍…돈 한푼 없이 집사는 ‘무갭투자’ 고개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이 4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올해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가 상승세가 매매가를 앞지르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돈 한 푼 들이지 않고 집을 사는 ‘무갭투자’가 고개를 들고 있다.

28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KB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12월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67.1%를 기록해 지난 1월(66.9%) 수치를 넘어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를 보면 올해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은 1월부터 내리 하락하다가 9월(64.7%)부터 반등해 4개월째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56.1%)도 지난 8월(53.3%) 이후 4개월 연속으로 오르며 올해 들어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경기 아파트 전세가율(72.3%)도 올해 들어 기록한 종전 최고였던 지난달 수치(72.1%)를 넘어섰다. 인천 또한 아파트 전세가율이 지난 8월(71.0%) 이후 4개월 연속으로 상승해 이달 73.6%에 이르렀다.

관련기사



시장에서는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의 상승에 대해 지난 7월 31일 시행된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제, 전월세상한제)의 영향으로 전세 매물이 부족해지면서 전셋값이 급등한 영향이 크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투자 방식)를 통한 매매가 상대적으로 쉬워진다는 점이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 ‘탄현 2단지삼익’ 전용면적 59㎡는 지난 8일 2억 1,500만 원(17층)에 전세 계약을 체결했다. 이 물건은 지난달 25일 2억 500만 원에 매매 계약서를 썼다. 전셋값이 매매가보다 1,000만 원 더 비싸 자기 자본금을 한 푼도 들이지 않고 집을 산 셈이다. 일산서구 일대는 매매가와 전셋값이 같거나 가격 차이가 5,000만 원 이하인 단지가 최근 3개월간 54곳에 달했다.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