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내년 2월 백신 접종 약속한 文 "물량 확보 부족? 사실 아니다"

文, 수보회의서 접종시기 첫 언급

내년 4,600만명분 백신 확보 추진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마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마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정부는 내년 2월부터 의료진, 노인 요양 시설 등의 집단 수용자와 종사자 등 우선순위 대상자부터 접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약속한 ‘2월 접종’ 백신은 내년 1·4분기 국내에 도입되는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올해 마지막 수석 보좌관 회의를 주재하며 “우리나라가 백신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거나 접종이 늦어질 것이라는 염려가 일각에 있다.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미 충분한 물량을 확보했고 돌발 상황을 대비한 추가 물량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얀센·모더나 등 백신 회사와의 개별 협상과 더불어 다국가 백신 연합체인 코백스퍼실리티(COVAX Facility·코백스)를 통해 백신 추가 확보를 추진 중이다.

관련기사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역시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내년 1·4분기에 코백스 물량도 공급 받는 것을 목표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코백스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내년 1·4분기, 얀센 백신 600만 명분은 2·4분기, 화이자 백신은 3·4분기에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코백스와 관련해서는 현재 첫 번째 라운드가 열려 어느 정도 백신에 대한 구매 의향을 저희도 제시했다”며 “코백스에서도 개별 회사와의 계약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정 본부장은 정부가 구매하기로 한 4,600만 명분의 백신은 국내 전체 인구의 88%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4,600만 명분의 백신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 5,183만 명의 88.8%에 해당한다”며 “백신 접종 가능 인구인 18세 이상 4,410만 명의 104.3%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통상 집단면역을 위해서는 전체 인구의 60∼70%가 항체 형성이 필요하다는 학계 의견을 고려할 때 이는 국내 집단면역 형성에 충분한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은 백신 특성에 따른 큰 틀의 접종 계획도 밝혔다. 정 본부장은 “화이자 등 영하 60∼90도의 초저온 유통이 필요한 백신에 대해서는 냉동고를 배치한 별도 접종 센터를 약 100∼250개 지정해 운영할 예정”이라며 “이 밖의 2∼8도의 냉장 보관·유통이 가능한 백신은 예방접종 경험이 있는 위탁 의료 기관 가운데 지정 기준에 부합한 기관을 지정해 접종을 시행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접종 후 이상 반응 관리와 관련해서는 질병청과 식약처가 공동의 감시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인과성이 확인된 피해에 대해서는 국가 보상 체계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홍우·우영탁기자 seoulbird@sedaily.com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