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형 우주발사체(누리호)의 시험 발사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당초 내년 2월과 10월 발사하려다가 내년 10월과 2022년 5월로 7~8개월 연기했다. 이번에는 인공위성이 제 기능을 못 하는 더미 위성을 발사하고 이후 1.5톤급 인공위성을 600~800km 상공에 쏘아 올리게 된다. 하지만 이후 발사체 시장에서 후속 사업이 별로 없다는 점에서 우주시장에 민간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뉴 스페이스(New Space)’가 요원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미국 스페이스X 발사체를 통해 내년 12월 발사 예정이던 달 탐사 궤도선 프로젝트도 지난 9월에 2022년 7월로 19개월 연기한 바 있다. 나아가 누리호를 개량해 한국형 달 탐사발사체를 2029년 시험발사하고 2030년에는 직접 달 착륙선을 쏘아 올릴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제18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서면으로 열고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이 권고한대로 누리호 발사시기를 조정하고, 재난 대응과 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인 ‘천리안3호’를 오는 2027년 발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누리호는 추력 75톤 엔진 4기를 결합(클러스터링)한 1단과 75톤 엔진 1기의 2단, 7톤 엔진 1기의 3단으로 구성되는데 가장 중요한 1단부 개발이나 1·2·3단 조립, 극저온 실험 등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앞서 정부는 2018년 11월 75톤 추력을 내는 엔진을 시험발사해 성공한 바 있다.
정부는 기술검증이 끝나는대로 누리호에 위성더미(첫회는 1.5톤 더미위성, 두번째는 200kg 검증위성과 1.3톤 더미위성)를 실어 시험발사한 뒤 당초 이르면 2022년을 시작으로 2024년, 2026년, 2027년까지 모두 네 차례 1.5톤 위성을 띄우기로 했었다. 누리호는 정부가 2010년부터 총 1조9,572억원을 들여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해온 한국형 우주발사체로, 1.5톤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의 지구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게 된다.
조상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보증팀장은 “누리호 시험발사에 성공하면 미국, 유럽 등에서 발사체 분야에서도 우리나라를 국제협력 파트너로 제대로 인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가 시험발사 이후 주관기업을 선정해 기술이전을 통해 발사대행을 맡기려고 하고 있으나 달성하기가 만만치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항공우주산업, 한화·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중공업, 두원중공업 등 발사체 관련 기업들은 관련 인력유지에 애로가 많다고 호소한다.
이와 함께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 3호) 개발 사업에는 내년부터 약 7년간 4,118억원이 투입되며, 2027년 하반기 발사를 목표로 개발이 추진된다. 과기정통부가 2,600억원, 국토부 533억원, 환경부 502억원, 해양경찰청이 483억원을 투입하는 다부처 사업이다. 정부는 천리안 3호를 수재해 감시, 해경활동 지원, 재난지역 긴급통신 지원 등 재난·안전 대응 지원과 GPS 위치보정신호 제공, 미래 위성통신 기술 테스트베드에 활용하기로 했다.
한편 국내 우주산업 규모는 지난해 기업체·연구기관·대학에서 총 3조8,931억원을 기록했으며 기업(84%), 연구기관(15.0%), 대학 연구비(1.2%)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는 기업체 359개, 대학 56개, 연구기관 34개 등 449개가 참여했다. 기업·대학에서는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분야, 연구기관에서는 위성체 제작 분야참여 기관이 가장 많았다.
분야별로는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가 68.5%를 차지했고, ‘위성체와 발사체 제작’(24.1%), 지상장비(4.1%)으로 조사됐다. 국내 우주산업 인력은 9,397명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1%씩 상승했다. 기업(70.7%), 연구기관(12.7%), 대학(16.6%)순이었다. 분야별 인력은 위성활용 서비스와 장비(53.0%), 위성체 제작(14.4%), 발사체 제작(11.7%) 순이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