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일부기관 올 8% 역성장 전망에...정부 "경제심리 위축 초래" 반박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겸 제219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겸 제219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내년 우리 경제가 최대 -8.3%까지 역성장할 수 있다는 일부 기관의 전망에 정부가 “극단적 시나리오는 국민의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하고 경제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기획재정부는 31일 일부 연구 기관의 보도자료와 관련해 입장문을 내고 “내년 연간 성장 전망의 경우 확진자 수, 백신 도입 등 코로나 상황과 관련된 여러 요인의 현황과 추이를 균형적인 시각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도입 지연의 경제적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내년 경제성장률이 최고 3.4%에서 최저 -8.3%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8.3% 성장률은 일평균 확진자가 2,500명 발생하고 내년 2·4분기 백신 도입, 오는 2023년 2·4분기 코로나19가 종식될 경우를 가정했다.


이에 기재부는 “지나치게 비관적 전제를 갖고 -8.3%까지 역성장하는 극단적 시나리오를 제시하는 것은 국민들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하고 경제 심리를 위축시켜 경제 회복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어 “정부는 연말 연시 특별 방역 대책, 방역 역량 강화 지원 등을 통해 코로나19 재확산의 조기 진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공급 기업과 지속 협상으로 총 5,6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하고 내년 2월부터 최대한 신속히 백신 접종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1년 경제전망 GIF


정부는 17일 ‘2021년 경제 정책 방향’에서 내년 성장률을 3.2%로 제시한 바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8%, 국제통화기금(IMF)은 2.9%의 성장을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내년 3.0% 성장을 전망하면서도 코로나19가 진정되지 않으면 성장률이 2.2%로 떨어질 수 있다는 ‘비관 시나리오’를 함께 제시했다.

기재부는 “최근 글로벌 차원에서 백신 도입과 접종 시점이 당겨지고 있는 점은 글로벌 경제의 정상화 및 교역 회복을 통해 국내 경기에도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방역 역량을 강화해 코로나19 재확산을 조기 진정시키고 백신·치료제 활용 시점을 최대한 앞당겨 빠르고 강한 경제 회복과 활력 복원을 이뤄내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세종=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