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기반은 단단하게! 변화는 신속하게!"

펀더멘털, 회복력으로 기반 구축 다지고

에코 시스템·지속가능성으로 변화 추진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4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신한금융그룹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4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신한금융그룹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4일 신년사를 통해 2021년 그룹 경영슬로건을 ‘기반은 단단하게!, 변화는 신속하게!’로 밝혔다.

조 회장은 이날 배포한 신년사에서 “고객 신뢰와 위기 대응을 바탕으로 조직의 체질을 강화하면서 기반을 단단하게 다져 가자”며 “미래 성장을 위한 기회를 끊임없이 탐색하면서 일류 신한을 향한 변화를 신속하게 추진해 가자”고 강조했다.

우선 단단한 기반 구축을 위해 펀더멘털(Fundamental)과 회복력(Resilience)을 강조했다. 조 회장은 “펀더멘털을 한 단어로 정의하면 ‘기본’이라며, 기업의 기본은 어떤 상황이나 어떤 위기가 닥치더라도 상품·서비스 경쟁력 유지 등 기초체력을 갖추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신한의 기초체력을 튼튼히 다지고 핵심사업의 질적 개선을 지속 추진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해 가자”고 덧붙였다. 특히 ‘고객 퍼스트’를 강조하며 그룹의 모든 것을 바꿀 것을 주문했다. 조 회장은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치열하게 고민하고 고객이 인정하는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굳건한 신뢰를 다시 쌓아 가자”라고 말했다.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시대인만큼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좌우하는 것이 회복력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조 회장은 “회복력의 근본 바탕은 리스크의 본질과 속도를 누구보다 빨리 알아내고 기민하게 대응하는 것”이라며 “회복력의 가장 핵심이 되는 특성은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강한 회복 탄력성에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변화를 위해 에코 시스템과 지속가능성을 신속하게 추진해나갈 것을 주문했다. 에코 시스템 구축은 디지털 전환에 달려 있음을 강조하며 업종간 경계를 넘는 개방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핀테크, 빅테크 등 다양한 기업과 협력하고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디지털 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에 나서자”며 “금융과 비금융, 재미와 가치를 아우르는 신한만의 혁신적인 디지털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해 가자”고 말했다.

지속가능성은 신한의 진정성을 담은 따뜻한 금융을 실천하는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조 회장은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환경을 물려주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상생의 성장 생태계를 만드는 친환경금융, 혁신금융을 더욱 힘있게 추진해 가자”고 말했다.

조 회장은 결국 사람과 문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디지털·융복합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조직 문화도 바꿔나가겠다는 뜻도 덧붙였다.

조 회장은 올해 경영전략에 맞춰 근고지영(根固枝榮)과 병형상수(兵形象水)를 사자성어로 제시했다.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아름다운 꽃과 풍성한 열매를 맺는다’는 의미의 근고지영은 단단한 기반 구축을, ‘전장에 임하는 군대는 물과 같이 빠르고 유연하게 움직여야 한다’는 뜻의 병형상수는 신속한 변화 추진을 각각 강조한 것이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