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연말 '대출한파'에...12월 신용대출 1년만에 마이너스

12월 5대銀 신용대출 400억 감소

연말 은행권 전방위 대출제한 효과

새해부터 신용대출 대부분 재개

최대한도·우대금리 축소는 유지





23일 서울의 신한은행 한 지점 창구가 비어 있다. /연합뉴스23일 서울의 신한은행 한 지점 창구가 비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이 400억 원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초저금리와 연이은 부동산 대출 규제까지 겹쳐 매달 수조 원씩 급증했던 신용대출이 한 달 새 감소한 것은 11개월 만이다. 지난달부터 시행된 금융 당국의 추가 규제와 초유의 ‘대출 중단’까지 불사한 은행권의 전방위 신용대출 제한에 따른 결과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신한·KB국민·우리·하나·NH농협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133조 6,482억 원으로 전달보다 444억 원 감소했다. 이들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해 11월(133조 6,925억 원) 전달보다 4조 8,000억 원 넘게 늘며 역대 최대폭 증가했다가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이 전달보다 감소한 것은 지난해 1월(-2,247억 원)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가계 신용대출이 급격히 감소 전환한 것은 은행권이 연말을 앞두고 속속 가계대출 문을 걸어 잠근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권은 지난해 11월 말 시행된 정부의 신용대출 추가 규제 전후로 대출 한도를 대폭 깎고 신규 취급을 중단하는 등 전방위로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섰다.


신한·우리·하나은행과 카카오뱅크 등은 지난달 말까지 직장인 대상 비대면 신용대출 신청을 중단했고 국민은행은 2,000만 원이 넘는 모든 신규 신용대출 취급을 막았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까지 월평균 신용대출 증가 폭을 2조 원대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을 당국에 제출한 상태였던 만큼 은행들로서는 목표치에 맞추려면 대출을 급격히 줄이는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은행들은 이달부터 신용대출 제한 조치를 대부분 해제한다. 국민은행은 2,000만 원 초과 신규 신용대출을 이날부터 재개했고 신한은행도 지난해 12월 23일부터 중단했던 직장인 비대면 신용대출과 일부 가계대출의 신규 접수를 다시 받기 시작했다. 하나은행은 5일부터, 우리은행은 이달 중 비대면 신용대출 판매를 재개할 예정이다. 다만 고소득 전문직에 대해 축소했던 한도는 대부분 은행이 그대로 유지할 방침이다. 고소득자의 과도한 신용대출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정부의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5대 은행의 연간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23조 7,374억 원 늘어 역대 최대로 증가했다. 증가율도 21.6%에 달한다. 이는 최근 3년(2017~2019년) 연평균 증가 규모(7조 5,833억 원, 8%)의 3배 수준이다.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670조 1,539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9조 3,977억 원(9.7%) 늘었다. 가계부채 대책이 시행된 2017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지난해 이례적으로 급증한 신용대출과 더불어 잔액 100조 원을 돌파한 전세대출이 전체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