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9년 대비 17.4%나 감소하면서 2015년 관측을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 속에서 비가 많이 내리고 바람이 부는 등 기상조건이 뒷받침했다는 분석이다. 정부도 첫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하면서 정책적 효과를 보탰다.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이 전국 472개 국가대기오염측정망 관측 값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의 초미세먼지(PM 2.5) 연평균 농도가 19㎍(100만분의1g)/㎥로 당초 목표였던 20㎍/㎥를 밑돌았다고 4일 밝혔다. 2019년(23㎍/㎥) 대비 17.4% 감소하면서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지난해 초미세먼지가 36㎍/㎥ 이상으로 ‘나쁨’을 기록한 일수는 27일로 2019년 대비 20일 감소하면서 관측 이후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좋음(15㎍/㎥ 이하)’ 일수는 154일로 2019년 대비 39일 증가했다. 특히 ‘매우 나쁨(76㎍/㎥)’ 일수는 하루도 없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충북(-7㎍/㎥)과 세종·전북(-6㎍/㎥)에서 초미세먼지가 크게 개선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은 국내 정책효과와 함께 중국의 지속적인 미세먼지 개선추세 영향인 것으로 분석했다. 2019년 12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첫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하면서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는 등 미세먼지 대책을 추진했다.
코로나19가 국가의 최종 에너지 소비량, 선박 입출항수, 항공 운항편수 등 감소로 이어지면서 초미세먼지 감소에 일부 기여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산업과 수송 분야의 에너지 소비량은 각각 전년 대비 2.6%, 10.8%씩 감소했다. 다만 코로나19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이르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전국 평균 강수량이 전년 대비 34.1% 증가하는 등 기상여건이 뒷받침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우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는 관측 이래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냈지만 아직은 기상 등 외부요인에 따라 언제든지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의 탄소중립 전략에 발을 맞춰 산업·수송·발전 등 부분별 대책을 강화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동시에 줄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