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올 수출 1,000억弗"...반도체 슈퍼사이클 오나

[산업부 수출 전망 공식 발표]

설비투자도 세계 1위 탈환 예상

지난해 수출 992억弗 '역대 2위'

이재용(왼쪽 세 번째) 삼성전자 부회장이 4일 평택 반도체 2공장을 찾아 극자외선(EUV) 전용 라인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이재용(왼쪽 세 번째) 삼성전자 부회장이 4일 평택 반도체 2공장을 찾아 극자외선(EUV) 전용 라인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올해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이 사상 두 번째로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도체 설비투자도 중국과 대만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다시 올라설 것으로 관측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반도체협회가 5일 발표한 ‘2020년 반도체 시장 동향 및 2021년 전망’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2020년 대비 평균 8.7% 증가하고 이 중 메모리 시장은 15.5%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 전망은 2020년보다 10.2% 증가한 1,075억~1,110억 달러로 지난 2018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관측됐다. 정부가 반도체 수출 전망을 공식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품목별로 보면 메모리 수출은 D램 중심으로 2020년보다 12.0% 증가한 703억~729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고 시스템 반도체 수출은 7.0% 늘어난 318억~330억 달러로 전망됐다. 산업부의 한 관계자는 “5G 시장 확대와 비대면 경제 확신으로 스마트폰·서버·PC 등 전방 산업 수요가 늘면서 시황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D램은 연초부터 초과 수요로 전환해 그 폭이 점차 확대되고 낸드는 초과 공급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반기부터 초과수요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도체 분야 설비투자에서도 우리나라는 2017~2018년 반도체 슈퍼사이클 이후 2019년에 중국과 대만에 빼앗겼던 설비투자 1위 자리를 2년 만에 탈환할 것으로 기대됐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반도체 설비투자액 전망치는 189억 달러로 중국(168억 달러), 대만(156억 달러)보다 많다.

관련기사



2020년 반도체 수출은 전년보다 5.6% 증가한 992억 달러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화웨이 제재 등에도 2018년(1,267억 달러)에 이어 역대 2위 실적을 냈다. 모바일 수요는 부진했지만 비대면 경제의 확산으로 서버·노트북 분야 수요가 늘면서 선방했다. 특히 시스템 반도체 수출은 303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해 연간 기준으로 철강·석유제품을 넘어 수출 5위 품목으로 도약했다. 파운드리 위탁 수요 확대, 5세대(5G) 통신용 칩·이미지센서 등의 제품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