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중진공, 정책자금 지원에 AI 기업평가 ‘K-VALUE’ 도입

내부 17만개·외부 540만개 데이터 기반

우수 中企 발굴, 신속 정책자금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비대면·디지털 기반 혁신성장 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 자금 평가에 인공지능(AI) 평가 모형 ‘K-VALUE’를 도입한다고 6일 밝혔다.


K-VALUE는 중진공의 17만개 내부 데이터와 540만개 외부 데이터를 활용해 부실이나 성장성·수익성·정책 목적성 등을 기준으로 100개 이상의 핵심 지표를 추출하고 AI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평균 임금 수준이나 특허 정보, 에너지 사용량 등의 핵심 지표에 대한 최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해 최적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관련기사



중진공은 AI 평가 모형을 통해 재무 성과는 미흡하지만 비재무적인 성과가 우수한 기업을 발굴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책 자금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중진공은 또 정책 자금이 우수 기업과 혁신 기업으로 우선 지원될 수 있도록 해 집행기관으로 신뢰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진공은 올 상반기 AI를 적용한 비대면 평가(ZERO-TACT)를 전면 도입한다. 빠르고 정확한 평가 결과를 도출해 신속하게 정책자금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김학도 중진공 이사장은 “비대면·디지털 기반의 신속한 정책자금 지원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AI 평가모형을 적극 활용해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중소벤처기업을 지속해 발굴하고 혁신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