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1조8,910억 규모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

2021년도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계획 공고

중소기업 정책자금 3,410억·소상공인 5,000억 원 등

부산시가 1조8,910억 원 규모의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 본격 추진한다.

8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에 몰린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2021년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자금 계획’을 7일 공고했다. 이는 매년 1월 중후반부터 시작했던 자금지원 시기를 다소 앞당긴 조치로, 민생경제 경영자금 부담을 최대한 덜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취지에서다.


지원방식은 기업의 대출이자 일부(0.8~1.7%)를 지원하는 이차보전방식과 저금리 융자방식, 조선·해양기자재, 자동차부품기업 등 지역 내 위기업종을 지원하는 특례보증방식 등이다. 지원 규모는 중소기업 육성·운전·창업특례자금 3,410억 원, 소상공인 임차료특별자금·모두론 등 5,000억 원, 신용보증재단 보증 1조500억 원 등 총 1조8,910억 원이다.

올해 정책자금의 주요 특징으로는 집합금지·제한업종 전용 임차료특별자금 신설(100억 원), 중·저신용자 전용 모두론+(플러스) 지원대상 대폭 확대, 소상공인특별자금 상환조건 완화를 통한 금융부담 경감, 안전인프라특별자금 신설(200억 원) 등이 꼽힌다.

먼저 코로나19 대규모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된 집합금지·제한업종 대상 임차료 특별자금을 신설한다. 이는 지역신보 보증서 3건 미만 사용 업체일 경우 대출한도와 무관하게 최대 1,000만 원 한도에서 중복지원 가능하며 부산시에서 2.8% 이자 전액을 지원해 2년간 무이자 혜택이 주어진다. 금융기관 전산작업 등 준비를 마치는 즉시 1월 말 자금을 집행할 예정이다.


부산시에서 전국 최초로 시행한 포용금융 ‘부산 모두론’은 금융기관 문턱을 넘기 힘들었던 중·저신용등급 전용상품으로 올해부터는 지원대상을 전면 확대하기로 했다. 신용점수 744점 이하(연체·체납이 없는 경우)라면 모두 신청 가능토록 대출제한을 완화했는데 이를 신용등급으로 환산하면 기존 6~8등급에서 6~10등급으로 지원대상을 대폭 확대한 것이다.

관련기사



부산시청 전경./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청 전경./사진제공=부산시



코로나19 피해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의 자금부담 경감을 위해서는 대출 상환조건을 기존 ‘5년 균등분할상환’에 ‘2년 거치 3년 균등분할상환’ 방식을 추가해 업체가 상환조건을 자금운용 상황에 맞게 결정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혔다.

기술보증기금과 협력해 안전인프라 특별자금(200억 원)도 신설한다. 목재, 유리, 선박건조 제조업 등 재해율이 높은 업종, 고령취업자 재해율이 높은 업종 등 안전취약기업 또는 안전경영활동이 우수한 기업 등에 노후설비 교체 등 필요한 운전자금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증료 0.2%p 감면, 이차보전 0.8~2.5% 지원 등을 시행한다.

부산시는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례 없는 유동성 공급 정책을 펼쳐왔다. 3단계에 걸친 정책자금 지원강화 조치를 시행해왔으며 4차에 걸친 정책자금계획 변경공고를 통해 8,100억 원 규모, 1만5,000여 업체를 대상으로 긴급유동성 지원책을 마련해 적극 대응해왔다.

부산시 관계자는 “정책자금 지원이 강화된 방역 조치로 어려움이 가중된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울 수 있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전방위적 자금지원 시책추진에 총력을 다 할 것”이라 말했다.

소상공인 특별자금 및 임차료 특별자금’은 8일부터, ‘중소기업 운전자금’은 11일부터 접수 예정으로, 자세한 지원사항은 부산시 홈페이지(고시공고)에서 확인 가능하다. 소상공인 자금지원은 부산신용보증재단, 중소기업 자금지원은 부산경제진흥원, 안전인프라 특별자금은 기술보증기금으로 문의하면 된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