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올해로 4번째 신년사…文, '일상회복·선도국가' 청사진 제시

11일 2021년 국정 비전 담아 신년사 발표

코로나19 극복과 선도국가 도약에 방점

1월 중순 기자회견도...사면론 입장 낼 듯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화상으로 열린 ‘2021년 신년 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화상으로 열린 ‘2021년 신년 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1일 새해 국정 운영 기조를 담은 신년사를 발표한다. 이번 신년사의 키워드는 ‘상생협력을 통한 일상회복’과 ‘선도국가로의 도약’이다. 올해는 ‘2022년 대선’ 전 문 대통령에게 온전하게 주어진 ‘마지막 시간’인 만큼 뚜렷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의지가 어느 때보다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8일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문 대통령은 오는 11일 신년사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상생협력을 통해 더 나은 일상을 회복할 것이라는 점과 그 힘으로 선도국가로 향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공개 일정을 잡지 않고 신년사를 가다듬는 데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21년 신년사는 앞선 7일 신년인사회 모두발언의 ‘확장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신년인사회에서 새해 구상을 ‘회복·통합·도약의 해’로 그렸다. 이 같은 밑그림을 바탕으로 문 대통령은 11일 신년사에서 보다 자세한 분야별 국정 운영 방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2월 후반부부터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는 점을 앞세워 완전한 코로나19 극복을 향한 의지를 다질 예정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발전 방향으로 확립한 ‘한국판 뉴딜’의 추진 의지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신년인사회에서 “이제 우리는 한국판 뉴딜의 본격적인 실행으로 빠르고 강한 경제 회복을 이루고 선도국가로 도약할 것”이라며 “또한 2050 탄소중립 정책으로 세계와 함께 기후변화 대응을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화상으로 열린 ‘2021년 신년 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화상으로 열린 ‘2021년 신년 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매해 신년사에서 빠지지 않았던 남북관계 발전 방향도 거론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신년사에서 ‘평화’는 17번 언급되며 ‘경제’와 함께 주요 키워드로 다뤄졌다. 이번 신년사에서도 한반도 평화를 역설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북한이 응답하고 있지 않은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를 다시 제안할지도 관심사다. 문 대통령은 앞선 신년인사회에서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한 듯 “여건이 허용한다면”이라는 전제를 달며 “한반도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남북관계의 발전을 위해서도 마지막까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다짐했다.

신년사 이후에는 신년 기자회견도 예정돼 있다. 시기는 이달 중순께로 점쳐진다. 이번 신년 기자회견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론에 대한 문 대통령의 입장이다. 지난 1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사면 필요성을 언급한 이래 문 대통령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사면과 관련한 문 대통령의 최근 발언은 지난 2019년 5월 취임 2주년 기념 인터뷰 당시다. 문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 두 전임 대통령께서 지금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정말 가슴이 아프다. 아마 누구보다도 저의 전임자 분들이기 때문에 제가 가장 가슴도 아프고 부담도 클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아직 재판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사면을 말하기는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신년인사회에서 새해를 ‘통합의 해’로 규정하고 “더욱 중요한 것은 마음의 통합”이라고 밝히면서 사면론에 화답한 것 아니냐는 분분한 해석을 낳았다. 이날 관련 질문이 나오면 문 대통령은 어떤 식으로든 사면에 대한 입장 정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발언 수위를 통해 이낙연 대표와의 사전교감 여부도 추론해볼 수 있다.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