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 생활치료센터 환자 4명 중 1명은 '우울'…"낙인 삼가야"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생활치료센터 입소 코로나19 환자 107명 연구

정신질환 이력·사회적 낙인 영향…"코로나19,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의 코로나19 검사실/연합뉴스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의 코로나19 검사실/연합뉴스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무증상 또는 경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4명 중 1명은 우울 증상을 겪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공공진료센터 손지훈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1저자 강은교·이선영 교수)은 이 병원이 운영했던 대구 인근 생활치료센터 입소 코로나19 환자 107명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서울대병원은 지난해 3월 대구·경북지역의 코로나19 경증 환자 관리를 위해 약 한 달여 간 경북 문경에서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이 우울증 평가도구(PHQ-9) 및 불안장애를 측정하는 평가도구(GAD-7)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입소 첫 주에 중등도 이상의 우울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24.3%에 달했다. 우울증으로 진단받기 직전 단계인 중등도 수준이 17.8%, 고도의 우울 증상을 보여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수준이 6.5%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 중 중등도 이상의 불안을 호소하는 환자는 14.9%,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의심할 수 있는 환자는 5.6%였다.

이런 우울,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신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지 여부와 코로나19 감염에 대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편견및 사회적 낙인에 대한 우려 등이 꼽혔다. 손 교수는 "정신질환 이력과 더불어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낙인 역시 환자의 우울과 불안을 자극하는 요인"이라며 "생활치료센터에서도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등 정신질환 환자들이 지속해서 치료받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사회에서도 코로나19 환자를 배척하거나 편견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도록 사회적 낙인을 최소화하고,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이라는 생각으로 따뜻하게 바라봐 주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근호에 게재됐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