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비싸니까"…서울사람들 지난해 원정투자 사상 최다

전년의 2배로 급증…경기·인천 등 지역 아파트값도 따라 상승해

주춤했던 상경투자는 2개월째 증가…"서울이 싸 보이는 착시효과"

지난해 서울시민이 서울 이외 지역에서 사들인 아파트 건수가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연합뉴스지난해 서울시민이 서울 이외 지역에서 사들인 아파트 건수가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지난해 서울시민이 서울 이외 지역에서 사들인 아파트 건수가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매매 매입자 거주지별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 서울 거주자의 관할 시도 외 아파트 매입은 6만 7,0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3만 1,444건) 대비 2.1배 증가한 것이자, 2006년부터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역대 가장 많은 수치다.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건수(127만 9,305건)가 역대 최다를 기록한 가운데, 서울 거주자의 타지역 아파트 매수도 이와 같은 추세를 보인 것이다.



지난해 서울시민의 서울 아파트 매수(3만 4,871건)는 전년(2만 4,652건)보다 41.5% 증가했다. 2016년 3만 8,540건, 2017년 3만 4,293건, 2018년 3만3,861건, 2019년 2만 4,652건으로 3년 연속 내리 줄었다가 지난해 반등한 것이다. 작년 서울 거주자의 아파트 매수가 가장 많았던 타지역은 경기(4만 5,959건)였으며 인천(5,451건), 강원(2,651건), 충남(2,141건), 부산(1,661건), 충북(1,661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 지난해 전북(1,447건)과 세종(486건)은 서울 거주자의 아파트 매입이 전년의 3배에 가까운 증가율(각각 2.9배, 2.7배)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서울시민의 아파트 원정 투자가 크게 늘면서 지난 해 이들 지역의 아파트값도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KB 시계열 통계를 기준으로 지난해 아파트값은 서울이 3.4% 올랐으나 경기는 12.8%, 인천은 9.6%, 지방은 5.8% 상승했다. 서울 외 수도권과 지방의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최근에는 매수세가 다시 서울로 회귀하는 양상을 보인다.

서울 외 거주자들의 서울아파트 매입은 지난해 7월 3,457건에서 10월 853건으로 3개월 내리 급감했다가 11월 1,066건, 12월 1,831건으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난달 외지인들의 서울아파트 매수는 노원(174건)에서 가장 많았다. 강남(152건), 송파(140건), 서초(117건), 강동(87건) 등 강남권도 외지인들의 매수세가 2개월째 큰 폭으로 늘어났다.

한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지난해 서울 거주자의 원정 투자가 크게 늘면서 해당 지역의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면서 "작년 말부터는 해당 지역의 가격 키 맞추기에 따라 서울이 싸 보인다는 심리적 착시 효과로 이제는 지방 거주자들의 상경 투자가 다시 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올해부터 양도세 장기보유 특별공제를 받으려면 2년 거주 요건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경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