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UN 이어 EU도 올해 인도적 지원 대상서 北 제외

코로나19 국경폐쇄 등으로 내부 사정 파악 못해

중국 투먼과 북한 남양 사이에 놓인 국경다리. /연합뉴스중국 투먼과 북한 남양 사이에 놓인 국경다리. /연합뉴스




유엔에 이어 유럽연합(EU)도 북한을 올해 인도적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다. 우리 정부가 보건 협력 등 각종 지원을 준비하는 가운데 북한의 국제적 고립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국영방송인 미국의소리(VOA)는 지난 30일 EU 집행위원회가 올해 대북 인도주의 지원금을 배정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EU는 지난해 아시아와 남미 지역에 1억 1,100만 유로(약 1,505억 원)의 인도주의 지원금을 배정하면서 북한도 포함시킨 바 있다. 2018년에는 북한 내 대규모 홍수와 관련해 국제적십자연맹의 재난구호긴급기금에서 11만 1,000달러를 지원했고 2019년에도 북한 주민들을 위한 구호 활동에 6만 1,000달러를 지원했다.

관련기사



EU 측은 북한 지원금을 배정하지 않은 이유를 VOA에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다만 지난달 유엔 역시 북한을 인도적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 점을 감안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북한의 폐쇄 조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은 지난해 말 전 세계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나라와 지원 규모를 책정해 발표하는 ‘2021년 인도적 지원 개요’에서 북한을 제외했다. 당시 유엔은 북한 당국의 이동 제한 조치로 내부 상황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북한은 지난해 1월 22일 중국 우한 지역에서 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자마자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을 금지했다. 또 그해 1월 말에는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선포하고 항공·열차 등 모든 교통편 운행을 중단했다. 유엔 세계식량기구(WFP)는 24일 VOA에 “국경 봉쇄가 지속되고 있어 물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황”이라며 “코로나19로 현장 평가 임무를 수행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2019년부터 WFP를 통해 쌀 5만 톤을 지원하려다 북한이 지난해까지 거부하자 결국 사업비를 환수하기로 했다.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