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경제동향

한은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로 임금 손실 7.4%”

■한은 '임금·소득분배' 보고서

일용직·저소득층 등 피해 집중

취약계층 대상 선별 지원 필요

1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스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성형주기자 2021.02.011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스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성형주기자 2021.02.01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른 잠재적 임금 손실률이 7.4%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임시·일용직이나 저학력·저소득층에 피해가 집중되면서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속 가능한 방역 지침을 마련하는 동시에 취약 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일 한은 조사국 소속 오삼일 차장과 이상아 조사역은 ‘코로나19 확산과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임금 및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으로 인한 잠재 임금 손실률이 7.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개별 취업자의 ‘봉쇄 조치 시 근무 가능 지수’를 측정한 뒤 이를 활용해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임금 및 소득분배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평가했다. 임금 손실률 7.4%는 지난해 3월 이후 거리 두기 1단계가 5.5개월, 2단계가 3.5개월, 2.5단계가 1개월 동안 시행된 것으로 본 결과다. 사회적 거리 두기 3단계에 해당하는 강력 봉쇄 조치가 한 달 동안 이뤄질 경우 경제 전체의 임금 손실률은 2.6%로 추산했다. 다만 해당 추정치는 잠재적인 임금 손실로 정부 지원이 이뤄진 만큼 실제 손실은 더 적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문제는 취약 계층일수록 임금 손실률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 소득분배가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산업별로는 대면 서비스업에서, 직업별로는 서비스·판매직에서 근무 가능 지수와 임금이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특성별로는 남성, 임시·일용직, 저학력, 저소득, 대면 접촉 일자리에 피해가 집중된 것으로 파악했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한 달 동안 진행될 경우 지니계수는 0.348에서 0.351로 0.003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니계수는 소득분배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0에서 1사이에서 값이 클수록 소득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를 가진다. 빈곤지수는 16.6%에서 19.7%로 3.1%포인트 상승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