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무료재생 뺀 스포티파이…"애플뮤직 전철 밟을수도"

국내 서비스 론칭…핵심기능 제외


3억 2,000만 명의 글로벌 이용자를 보유한 세계 1위 음원 서비스 스포티파이가 한국에 공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핵심 기능인 ‘무료 듣기’가 제외된데다 상품 선택 옵션도 많지 않아 성공 여부는 미지수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게다가 국내 최대 음원 유통사인 카카오M과 협상도 마치지 못한 상태에서 다소 성급하게 서비스를 출시해 일각에서는 “과거 한국 시장 공략에 실패한 애플뮤직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스포티파이는 2일 국내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서비스하는 무료 듣기를 제외해 유저들의 실망이 컸다. 스포티파이의 무료 듣기는 한 음악이 끝나고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 광고를 듣는 대신 무료로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기능이다. 무료 듣기 기능은 스포티파이가 세계 1위 음원 서비스로 성장한 가장 큰 원동력이다. 스포티파이 측은 “한국 시장의 상황 및 특수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스포티파이가 무료 듣기로 발생하는 수익으로는 한국 저작권료 계약이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서비스에 비해 가격 경쟁력도 떨어진다. 스포티파이는 온·오프라인 재생이 가능한 ‘프리미엄’과 두 명이 함께 가입할 수 있는 ‘듀오’ 두 가지 결제 방식을 내놓았다. 가격은 각각 월 1만900원, 1만6,350원이다. 이는 주요 국내 음원 서비스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관련기사



국내 음원이 부족한 점도 발목을 잡는다. 스포티파이는 지니뮤직과 일부 음원에 대한 협상을 마쳤지만 국내 최대 음원 유통사인 카카오M과의 협상은 지지부진하다. 가온차트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400위권 내 음원 유통 점유율은 카카오M 37.5%, 드림어스(FLO) 15.9%, 지니뮤직 15.1% 순이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애플뮤직도 지니뮤직과 음원 협상에 성공했지만 카카오M 섭외에 실패하며 국내 입지가 좁아졌다”며 “스포티파이도 카카오M 없이는 국내에서 자리 잡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beherenow@sedaily.com


윤민혁 기자 behereno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