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현대硏 “코로나19 위기, 외환위기·금융위기보다 서비스업 충격 크다”

외환위기는 소비, 금융위기는 수출에 충격 집중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매장 입구에 코로나19로 인한 영업시간 단축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매장 입구에 코로나19로 인한 영업시간 단축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 위기가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비해 서비스업에 충격이 집중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비스업 회복이 더디게 나타날 뿐 아니라 코로나19 확산 수준에 따라 충격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맞춤형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경제 위기극복지수를 이용해 경제위기별 충격 수준과 부문별을 비교한 결과 코로나19 위기 발생 10개월 뒤 서비스업 위기극복지수는 77.9포인트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위기발생시점을 100으로 봤을 때 10개월이 지난 시점에도 위기가 회복되지 않았다는 의미다.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10개월 이후 위기극복지수는 155.2포인트로 7개월 만에 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코로나위기는 향후 신규 확진자 수 확산 가능성이나 백신 보급 상황 등 영향으로 다시 악화될 가능성이 여전히 남은 상태다. 연구원은 “금융위기와 코로나위기의 회복 양상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금융위기에 비해 코로나위기 시점에서 위기 이전으로 회복이 더 오래 걸렸다”고 했다.

관련기사



반면 소비나 수출 등은 코로나위기보다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충격이 더 심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 발생 10개월 후 위기극복지수를 비교할 경우 외환위기 때 소비 위기극복지수는 37.9포인트에 그쳤다. 금융위기와 코로나위기는 각각 166.7포인트, 119.2포인트로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다만 코로나위기는 상품군, 업종, 업태 등에 따라 소비 격차가 확대돼 양극화가 발생하고 있는 점은 우려된다.

수출은 금융위기 때 충격이 가장 컸다. 금융위기 발생 10개월 뒤 수출출하 위기극복지수는 90.9포인트로 위기 발생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데 12개월이 걸렸다. 외환위기는 수출대상국이나 외환시장 여건으로 수출 충격이 크지 않았고 코로나위기는 10개월 만에 163.7포인트로 오르면서 크게 회복한 상태다.

오준범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역 체계를 유지하는 한편 비대면 소비 등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 소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고용절벽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해 고용유지 인센티브 강화, 실직자·구직자에 대한 지원 제도 확충 등 다각적 고용시장 안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