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스트 윤명한 교수 연구팀, 미세섬유 기반 고성능 전도체 기술 개발

생체 이식형 소자에 적용시 고효율 생체전기 신호 획득 기대

지스트 조일영(왼쪽부터) 박사과정, 김영석 박사과정, 윤명한 신소재공학부 교수 /사진제공=지스트지스트 조일영(왼쪽부터) 박사과정, 김영석 박사과정, 윤명한 신소재공학부 교수 /사진제공=지스트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 연구팀은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Jonathan Rivnay 교수, 포항 가속기 연구소 안형주 박사 연구팀과 함께 고성능 미세섬유 기반 유기물 혼합형 전도체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유기물 혼합형 전도체는 금속과 같은 단순 전기전도체가 아닌 전해질 내에서 이온 전도성과 전기 전도성을 동시에 갖는 재료를 말한다. 신경, 심장, 근육 신호 등 물속 이온 기반의 생체전기신호와 실리콘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정공 기반의 고체상 전기전자신호를 연계할 수 있는 생체이식형 전자소자 활성층으로 활용된다.



연구팀은 상업용 반도체 공정에 주로 사용돼 온 변형제어공학을 단일 가닥 미세섬유에 적용해 고분자 미세결정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방법으로 전하이동도 및 전기전도성을 극대화했다.

관련기사



지금까지 유기물 전기학적 트랜지스터는 기존 무기물 기반 트랜지스터에 비해 월등한 정전용량과 높은 전기적 스위칭·증폭 특성으로 생체 이식형 및 피부 부착형 센서로 각광받아 왔으나, 유기물 전도체의 고질적 문제인 낮은 전하 이동도와 전기전도성에 의해 스위칭·증폭 특성 향상에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PEDOT:PSS 기반 전도성 고분자 미세섬유 내 결정구조를 한 방향으로 정렬시켜 기존 동일재료 기반 소자(490 F cm-1V-1s-1)에 비해 3배 이상의 트랜지스터 특성 평가지수를 갖는 트랜지스터(1500 F cm-1V-1s-1)를 구현했다.

윤명한 교수는 “최근 생체 이식형 전자소자로 각광 받고 있는 유기물 전기 화학 트랜지스터를 단일 가닥 섬유 형태로 제작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특성 평가지수를 달성하는데 성공했다”며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전도성 고분자 섬유 소재의 높은 전기적·전기화학적 특성을 고려해 앞으로 고성능 체내이식형 전자소자 및 에너지저장장치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지스트 창의적 도전과제, 지스트 개발과제 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논문은 과학기술 전문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지난 4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광주=김선덕 기자 sdkim@sedaily.com


광주=김선덕 기자 sdk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