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고속道 수납원 설연휴 총파업… "하이패스로만 통과, 교통 대란 예고"

도공서비스 노조 10일 돌입

"하이패스 차로만 이용 가능"

귀성·귀경객 큰불편 불가피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이 지난해 5월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톨게이트 요금 수납원 직접 고용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근무지·업무 배치, 고소·고발 및 관련 징계 철회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이 지난해 5월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톨게이트 요금 수납원 직접 고용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근무지·업무 배치, 고소·고발 및 관련 징계 철회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속도로 요금 수납원의 정규직화를 위해 설립해 최근 공공 기관으로 지정된 한국도로공사서비스(도공서비스) 노조가 설 연휴를 불과 하루 앞두고 총파업에 돌입한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올 설 연휴 고속도로를 유료로 운영한다는 방침이지만 막상 요금 수납원 인력 부족으로 귀성·귀경객이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공서비스는 9일 도공서비스 노조가 10일 오전 6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총력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현재 도공서비스 노조 측은 △모 회사인 한국도로공사와 동일한 수준의 복리 후생 △직영 휴게소 및 주유소 사업 이관 △도로공사 현장 지원직과 동등한 임금 수준 △모 회사와 자 회사 노사 4자 협의회 개최 등을 요구하고 있다. 도공서비스 노조는 지난 8일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전체 조합원의 93%인 4,795명이 투표에 참여해 4,179명, 87%가 총파업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러나 도공서비스 측은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공서비스 관계자는 “사측은 회사 설립 이후 임금 35%를 인상했고 정년을 61세로 1년 연장하는 등 임금과 복리·후생 여건이 크게 개선됐다”며 “올해에도 노조 측에 상여금 추가 100% 지급을 제시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도공서비스는 노조 총파업에 따라 설 연휴 고속도로 통행 시 하이패스 차로만 이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하이패스 단말기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도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한 후 통행료를 ‘후불’로 납부해야 한다. 도공서비스 측은 “일부 요금소에서 불가피하게 차량이 몰려 혼잡한 상황이 빚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도공서비스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비정규직 정규직화’ 기조에 따라 요금 수납원 직접 고용을 위해 만들어진 자회사로 지난 2017년 9월 설립됐다. 이 과정에서 요금 수납원 정규직화를 요구하는 노조 측과 도로공사 간 소송이 오가는 갖은 진통이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총 정원 6,300명인 도공서비스는 이후 지난달 29일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로부터 기타 공공 기관으로 지정됐고 이후 열흘 남짓 만에 노조 측은 총파업에 돌입했다.

/조양준 기자 mryesandno@sedaily.com


조양준 기자 mryesandn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