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오는 26일 차기 회장을 추대하는 정기총회를 개최한다. 현재로서는 후보자가 오리무중이어서 허창수 현 회장이 재추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허 회장은 지난 2011년부터 2년 임기 회장직을 4연임했다. 허 회장은 지난해 GS그룹 회장에서 물러난 만큼 전경련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정하고 차기 회장을 물색했지만 다들 고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4대 그룹은 국정농단 사태 때 탈퇴했고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다른 그룹 총수들도 관심이 없는 분위기다.
전경련 회장이 원래부터 인기가 없는 자리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손사래 정도가 아니라 아예 ‘해서는 안 될 자리’가 돼버렸다. 국정농단 사태에 깊숙이 연루되면서 현 정부에 전경련은 ‘패싱(배제)’ 그 자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집권 세력에 찍혀 소속 기업이 피해를 볼 수도 있는데 전경련 회장을 어느 누가 하려고 하겠나”라고 했다.
한국 경제 중추인 재계의 목소리를 지금처럼 정치적 연유로 외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경련은 노사 관계가 주 업무인 한국경영자총협회, 지역 상공인까지 포괄하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역할 차이가 크다. 나아가 전경련이 일본 게이단렌과 1982년부터 개최해온 한일재계회의 같은 민간 교류는 대체 불가능하다. 이는 최악으로 치달은 한일 관계에 윤활유 역할도 할 수 있다. 경영계의 한 원로 인사는 “껄끄러운 외교 문제도 민간 가교인 전경련을 활용하면 좀 더 매끄럽게 다가갈 수 있는데 아쉽다”고 했다.
주요 그룹이 빠져나가면서 전경련 조직 운영도 정상이 아니다. 상근 부회장은 산하 싱크탱크인 한국경제연구원 원장을 겸직하고 있다. 구조 조정 여파로 한경연의 경제·고용 정책 연구 인력 전부가 전경련 파견 인력이다. 과거 잘못에 책임을 물었다면 이제는 전경련 고유 역할과 능력을 그 자체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올해로 창립 60주년을 맞은 전경련 스스로도 ‘총수 친목 단체’라는 인식을 깨기 위한 노력을 보여야 한다.
/한재영 기자 jyha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