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미중 희토류 전쟁 휘말릴라...정부, 제3 수입처 발굴한다

中 의존도 50% 넘어 리스크 커

수입선 다변화 계획 수립 본격화

캐나다·호주 등과 공급제휴 검토





정부가 50%를 웃도는 희토류의 대중(對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수입선 다변화 전략을 모색한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면서 전략물자인 희토류를 무기화하려는 중국의 움직임이 가시화한 데 따른 것이다.



1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희토류 대체 수입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희토류는 반도체,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로 활용되지만 중국에서 수입하는 물량이 전체의 50%를 웃돌아 공급 리스크에 취약하다. 산업부는 수입선 다변화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계획을 수립해 이르면 올 상반기 중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마땅한 수요처를 확보하지 못해 생산을 하지 않는 국가와 제휴를 맺는 안을 우선 검토한다. 일정 수준의 물량을 의무적으로 구입하는 조건으로 이들 국가가 생산에 나서도록 설득하는 방식이다. 제휴 대상 국가로는 캐나다와 호주 등이 검토되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희토류를 보유한 국가는 적잖게 있지만 중국의 시장 지배력이 월등한 탓에 채굴을 하지 않고 있다”며 “안정적인 수요처가 확보되면 이들 국가도 생산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가 희토류 수입선 다변화에 나선 것은 미중 갈등과 맞물려 중국의 희토류 통제 수위가 한층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들이 잇달아 미국의 제재를 받으면서 중국이 미국에 타격을 주기 위해 희토류 수출제한 카드를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실제 중국은 지난 1월 희토류의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총량제 등을 포함한 법규인 ‘희토류 관리 조례’ 초안을 내놓는 등 수출제한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다지고 있다. 희토류 최대 생산국인 중국이 본격적으로 수출제한에 나설 경우 전 세계 희토류 가격이 급등해 국내 수급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세종=김우보 기자 ubo@sedaily.com


세종=김우보 기자 ub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