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한국씨티銀 철수설에…은성수 "외국계 유인책 검토할 것"

금융위원장-5대협회장 간담회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연장 공감대…"상환 방식 차주가 선택할 수 있게"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2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5대 금융협회장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연합뉴스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2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5대 금융협회장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연합뉴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외국계 금융사의 한국 사업 여부는 비즈니스 모델 문제에 달려있다며 유인책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5대 금융협회와 코로나 금융 지원이 종료된 후에도 차주들의 부담이 일시적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이자와 원금 상환 방식을 차주가 선택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은 위원장은 22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5대 금융협회장과의 간담회를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씨티그룹의 한국 소매금융 철수설과 관련한 질문에 "기사 내용과 (한국)씨티(은행)의 해명까지만 보고 받았다"며 "(씨티그룹이) 내부적으로 검토했는지는 확인해 본 것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씨티그룹이 한국, 태국, 필리핀, 호주 등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지역 소매금융 부문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그는 정부의 금융중심지 육성 기조와 달리 외국계 금융사의 이탈설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에 "외국계가 오고 안 오는 문제는 결국 비즈니스 모델"이라며 "한국경제가 활력을 찾고 여기에 더 많은 비즈니스가 있으면 매력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많이 지적받는 것 중 하나가 세금 문제인데 기업을 유치한다고 세금을 조정한다는 건 주객이 전도된 것 아니냐"며 “그런 것은 핸디캡(결점)으로 들고 가면서도 우리가 더 매력을 끌 수 있는 부분이 뭔지를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이날 은행연합회·생명보헙협회·손해보험협회·여신금융협회·저축은행중앙회 등 5대 금융협회장을 만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치 6개월 연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와함께 유예 종료 후에도 차주들의 부담이 일시에 가중되지 않도록 연착륙 5대 원칙에 따라 상환 컨설팅을 제공하는 데 뜻을 모았다.

은 위원장은 “코로나 금융지원이 끝나고 나면 차주가 한번에 갚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니 차주들이 어떤식으로 돈을 갚는 게 맞는 지 금융사와 오랜 시간 논의했다”며 “기본 원칙은 만들었고 실 사례로 이자와 원금을 분할상환해서 갚는 지 등을 여러 사례로 만들었고 마지막 결정은 고객이 결정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지윤 기자 lucy@sedaily.com


이지윤 기자 luc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