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울 전셋값 잡히나…전세가율, 임대차법 5개월만에 첫 하락

아파트 전세 매물도 6개월 전보다 23% 증가

"안정화 판단 아직 일러…봄 이사철 지나 봐야"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지난해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제·전월세상한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지난해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제·전월세상한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지난해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제·전월세상한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서울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달 56.17%로 전월(56.26%) 대비 0.09%포인트 하락했다. 전세가율은 지난해 7월 말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하는 새 임대차법 시행 직후인 8월(53.27%)부터 올해 1월(56.26%)까지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오다가 처음으로 하락한 것이다.

정부 공인 시세 조사기관인 한국부동산원 통계로도 서울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해 7월(57.26%)부터 올해 1월(58.55%)까지 매달 상승하다가 지난달 처음 58.52%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서울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세가 잡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이 산출한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작년 12월 0.96%에서 올해 1월 0.74%, 2월 0.60%로 2개월째 상승 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향후 3개월간의 서울 아파트 전셋값 전망(KB부동산 전망지수)도 지난해 8월 142.6까지 올랐다가 이후 5개월 연속으로 내림세를 보이며 지난달에는 114.6까지 하락했다.

서울의 전세 공급 부족 수준을 보여주는 전세수급지수도 지난달 160.1을 기록하며 작년 2월(160.9) 수준으로 내려갔다. 전세수급지수는 1~200 사이에서 움직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전세 공급 부족을, 낮을수록 수요 부족을 의미한다. 이 지수는 서울을 비롯해 경기와 인천, 수도권과 지방 모두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또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울의 전세 매물은 6개월 전보다 22.9%, 2개월 전보다는 23.7% 증가했다. 같은 기간 경기와 인천도 매물이 늘었다.

한편 부동산 전문가들은 전세 시장이 안정됐다고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분석한다. 특히 올해 서울과 경기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입주 물량 감소가 예상되는만큼 봄 이사 철인 4~5월 이후까지 지켜봐야 전세 시장 안정 국면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올해 서울에서 입주가 예정된 아파트는 2만6,940가구로, 지난해(4만8,758가구)보다 45%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또 전국적으로도 26.5%, 경기는 22.1% 각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