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경실련 "정부의 LH 직원 투기 의혹 조사에 부산 연구개발특구도 포함해야"

정부 합동조사단이 3기 신도시 땅투기 의혹을 조사 중인 가운데 11일 경기도 고양시 창릉지구에 3기 신도시 지정 취소를 요구하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연합뉴스정부 합동조사단이 3기 신도시 땅투기 의혹을 조사 중인 가운데 11일 경기도 고양시 창릉지구에 3기 신도시 지정 취소를 요구하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연합뉴스




정부 합동조사단이 3기 신도시 땅투기 의혹을 조사 중인 가운데 최근 광명·시흥과 함께 공공택지로 지정된 부산 강서구 대저동 연구개발특구 지역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1일 입장문을 통해 “강서구 대저동 연구개발특구는 지난달 24일 공공택지로 지정된 곳으로, 정부의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는 것이 납득이 가질 않는다”며 “정부는 정부합동조사 대상 지역으로 강서구 대저동 연구개발특구 지역을 포함해 부산시, 강서구청, LH(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도시공사를 조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합동조사단은 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지자 부동산거래관리 시스템을 통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직원 뿐 아니라 조사대상자의 배우자, 직계존비속도 조사예정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부산경실련은 연구개발특구 지역도 최근 거래가 급증하는 등 땅 투기 의혹이 제기된다고 주장했다. 부산경실련에 따르면 올해 1월에 35건이던 거래가 2월24일 개발 계획 발표 이전 시점인 2월에 90건으로 64건이나 급증했고 금액도 1월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했다.

대저의 경우 거래가 가파르게 늘어났기 때문에 정보 유출 가능성이 높다는 합리적 의심이 가능함으로 당연히 조사에 포함해야 한다는 게 부산경실련의 주장이다.

현재 진행 중인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서는 부산시가 부산지역의 공공택지 등 공공개발사업에 공직자들의 불법땅투기에 대한 철저한 전수조사를 하고 이를 위한 조사단 구성에 부산시 공무원 뿐만 아니라 법조계, 부동산 전문가 등 관계 전문가를 포함해야 한다고 했다. 공직자의 부패방지를 위해 철저한 자체 감시제도 및 기구 설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경실련 관계자는 “공무원이 업무상 알게 된 비밀정보를 통해 땅투기를 하는 행위를 지켜보는 국민들은 박탈감이 들 수 밖에 없다”며 “정부도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철저한 조사와 처벌을 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