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여명]'미나리'는 '제2의 기생충'이 아니다.

신경립 문화부장

미나리에 대한 과열된 기대와 바람

K무비 쾌거라는 등 엉뚱한 비약까지

대외 성과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말고

작품을 있는 그대로 감상하고 즐겨야





오랜만에 찾은 극장이 제법 북적였다. 심심한 듯 담백한, 그러면서도 깊은 맛이 나는 맑은 탕 같은 영화였다. 호화 캐스팅도, 기발한 스토리도, 화려한 볼거리도 없는 잔잔한 저예산 독립영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국에 적잖은 관객을 불러 모을 수 있는 것은 이 영화가 무엇보다 강력한 티켓 파워를 장착했기 때문이다. 국제 유수의 영화제를 휩쓴 화려한 수상 경력과 다음달 열릴 아카데미 시상식 수상에 대한 강한 기대감이다. 영화 ‘미나리’ 얘기다.

미나리는 더없이 소박하고 정적인 영화지만 사람들은 이 영화를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는다. 영화는 외부에서 일으킨 논란과 법석의 중심에 서 있다. 미국 골든글로브 시상식을 주관하는 할리우드외신기자협회는 영화 속 대사의 절반 이상이 한국어라는 이유로 미나리를 외국 영화로 규정해 논란을 일으켰다. 미나리는 누가 봐도 미국 영화다. 관계자의 국적이나 자본의 출처를 따지지 않더라도 영화를 관람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골든글로브의 시대착오적 기준이나 백인 주류 사회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배타성에 대한 지적을 더 보태지는 않겠다. 다만 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 수상이 영화에 담긴 메시지나 작품의 완성도보다는 인종차별 이슈로 세간의 관심을 몰고 가 버린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미국에서 인종차별 논란이 들끓었다면, 한국에서는 미나리가 국제 영화계에서 거둔 성과에 대한 환호와 기대로 법석이 일고 있다. 영화 자체보다는 상을 몇 개 탔는지, 과연 아카데미상을 탈 것인지가 더 큰 관심거리다. 미국 영화인데 인종차별을 당했다고 골든글로브를 향해 분개하던 국내 언론과 관객들이 미나리의 수상 소식에는 ‘K무비'의 쾌거라고 환호하고 있으니 아이러니다.

관련기사



‘K무비’의 성공을 향한 과열된 관심과 기대는 미나리에 ‘제2의 기생충’이라는 엉뚱한 꼬리표까지 달아 놓았다. 이는 지난해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그랬던 것처럼 미나리도 수상 레이스의 종착점인 아카데미상에서 또 하나의 역사를 쓰리라는 강한 기대와 바람을 담은 말인 것을 안다. 그럼에도 이 수식어는 마음 한구석을 씁쓸하게 만든다. 잘 만든 작품을 있는 그대로 감상하고 즐기기보다는 ‘수상’이라는 성과에 지나치게 얽매이는 우리의 문화·예술 인식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서다.

사실 장르를 막론하고 국제적인 수상 경력이 갖는 힘은 크다. 평소 소설을 읽지 않는 사람도 맨부커상을 수상한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집어 들게 만들고, 돈을 내고 클래식 공연을 관람하지 않던 사람도 쇼팽 콩쿠르 우승자인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리사이틀 표를 예매하게 만든다. 영화 ‘미나리’의 관객 중에는 평소 저예산 독립영화를 거의 또는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어떤 작품이나 예술가의 화제성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일으키고, 침체됐던 문화 장르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면 더 바랄 나위 없이 좋은 일이다. 하지만 문화·예술에 대한 진정한 관심 없이 수상이라는 성과에만 과도하게 집착하는 문화 소비 행태는 문화·예술 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강의 맨부커상 수상으로 출판계가 들썩인 이후로도 한국에서는 1년간 단 한 권이라도 일반 도서를 읽은 국민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K무비의 대외적 성과와는 반대로 영화계의 생태계 왜곡에 대한 우려가 날로 커지는 현실이 이를 증명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문화·예술에 대한 국민의 꾸준한 관심과 애정이다.

오는 15일이면 올해 아카데미상 후보들이 공개된다. 한국인들의 관심은 온통 미나리다. 결과는 예측할 수 없지만 이것만은 분명하다. 수상을 하든 못 하든 미나리는 ‘제2의 기생충’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수상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애써 영화를 만든 이들에게도, 한국 영화의 발전을 위해서도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성과의 잣대를 들이밀지 않고도 미나리와 같은 영화를 즐기고 찾아 보는 관객이 더 많아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