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벌써 6명째…與, 수도권 부동산 투기 의혹 잇따라 (종합)

개발호재 지역서 '쪼개기' 매입…재산 축소 신고 의혹도

정세균 국무총리가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1차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한 1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직원들이 복도를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정세균 국무총리가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1차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한 1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직원들이 복도를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 사태가 확산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땅 투기 의혹도 잇따라 불거지고 있다. 최근 투기 의혹이 제기된 양이원영, 양향자, 김경만 의원까지 포함하면 투기 의혹을 받는 민주당 의원은 6명으로 늘었다.

12일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국회의원 재산공고에 따르면 부천정이 지역구인 서영석 의원은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소재 토지 438.5㎡와 근린생활시설 175.5㎡를 지난 2015년 8월 구입했다. 이 지역은 2019년 3기 신도시에 포함된 부천 대장지구와 인접한 곳이다. 서 의원은 해당 부동산을 매매할 당시 경기도의원이었다.

약사 출신인 서 의원은 당시 약국이 있던 건물이 재개발돼 약국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여윳돈이 생겼고 공인중개사인 지인의 권유로 부동산을 매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서 의원측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해당 부지는) 6년 전 구입한 것으로 3기 신도시와는 관련이 없다"며 "신도시 지구와는 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있어 신도시 지정 이후에도 가격 변동이 없다"고 투기 의혹을 일축했다.



김포갑이 지역구인 김주영 의원은 부친이 지난 2019년 9월 남양 뉴타운과 인접한 임야 495㎡를 매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부동산 업체가 경매로 낙찰받은 총 1만1,729㎡의 임야를 수십명이 쪼개 매입한 형태로 투기성 매매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기사



김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연로하신 아버지께서 큰형 친구분의 말만 듣고 기획부동산을 통해 매매한 것으로 의심이 된다"며 "장남을 불의의 사고로 앞세웠고 둘째마저 장애로 생계능력조차 없는 터라 나머지 자식인 저와 누님에게 손을 벌리지 않으려 하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사실을 작년 공직자 재산등록 시점에 알게 돼 매도를 요청했으나 지금까지 구매자가 나서지 않고 있어 처분하지 못하고 있다"며 "하루빨리 처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윤재갑 의원은 배우자가 경기도 평택에 있는 2,000㎡ 규모의 밭을 20여명과 나눠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토지는 내년에 개통될 서해선 복선전철 수혜 지역이다. 윤 의원 배우자가 토지를 매입한 시점인 2017년 전후로 투자 열풍이 불었던 곳으로 전해졌다.

윤 의원 측은 지인에게 돈을 빌려줬는데 돈을 돌려주는 대신 가지고 있으라고 해서 갖게 된 땅이라고 해명하며 땅을 팔겠다고 밝혔다.

여기에 모친의 광명 3기 신도시 부지 매입으로 투기 의혹이 제기된 양이 의원은 공직자 재산 신고에서 땅값을 축소 신고했다는 의혹까지 추가로 제기됐다. 양이 의원은 모친 명의의 11개 필지 땅값을 공시지가를 토대로 6,144만원으로 신고했으나 등기부등본을 확인한 결과 거래금액이 기재된 7개 필지의 거래액만도 2억원이 넘는다는 것이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보유 토지를 처음 신고하는 경우 공시지가와 실거래 가격 중 높은 금액으로 신고해야 한다. 양이 의원측 관계자는 "실거래가 확인이 어려운 부분이 있어 국회 공직자윤리위 감사관실에 문의한 뒤 작성한 것"이라며 "시세보다 훨씬 비싸게 산 것이어서 실거래금액 전체를 재산으로 보기 어려운 측면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경만 의원은 앞서 제기된 배우자의 3기 신도시 인근 투기 의혹과 관련 입장문을 내 "해당 토지 매각과 동시에 지체없이 전액 기부하기로 했다"며 "금액에 상관없이 즉각적인 매도를 성사시켜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박동휘 기자 slypdh@sedaily.com


박동휘 기자 slypdh@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