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한국에 발끈한 중국 "황사는 몽골발…중국 탓하지 말라"

"환경과 대기 문제는 국경이 없어"

中 언론 "韓, 중국 탓 일삼아 와"

중국 베이징의 주민들이 15일 오전 황사로 뒤덮인 거리를 걷고 있다. 베이징시 기상대는 이날 올해 들어 처음으로 황사 황색경보를 발령했다./AP연합뉴스중국 베이징의 주민들이 15일 오전 황사로 뒤덮인 거리를 걷고 있다. 베이징시 기상대는 이날 올해 들어 처음으로 황사 황색경보를 발령했다./AP연합뉴스




중국이 ‘중국발(發) 황사’라는 표현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16일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에서 중국발 황사라는 표현을 사용한다’는 중국 기자의 질문에 “환경과 대기 문제는 국경이 없다”고 운을 뗀 뒤 “검측기관에 따르면 이번 황사는 중국 국경 밖에서 시작됐고, 중국은 단지 거쳐 가는 곳일 뿐”이라고 말했다.



자오 대변인은 “몽골이 최근 황사 소식을 공식 발표했다”며 이번 황사의 시작을 몽골로 지목한 뒤 “하지만 중국 여론은 몽골에서 황사가 시작됐다고 책임을 묻지 않았다”고 한국을 에둘러 비판했다.

관련기사



그는 “각 측은 과학적이고 건설적인 태도로 관련 문제를 바라보고 불필요한 언론플레이를 삼가야 한다”며 “중국은 국제사회와 함께 환경보호에 적극 동참해 아름답고 깨끗한 세계를 건설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언론도 이번 황사를 ‘중국발’이라고 한 한국 언론을 향해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일부 한국 언론이 황사 보도에 ‘중국’을 거론하며 베이징 사진을 첨부하는 등 선정적으로 보도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한국 언론은 황사와 미세먼지가 발생할 때마다 중국을 희생양으로 삼는다고 주장했다.

한국 기상청은 전날 황사 예보에서 이번 황사가 중국 네이멍구(內蒙古)와 고비 사막 부근에서 발원했다고 전했다. 고비 사막은 몽골 남부와 중국 북부 네이멍구에 걸쳐 있다.

/곽윤아 기자 ori@sedaily.com


곽윤아 기자 or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