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베트남, 캄보디아 MZ세대도 'K소주'에 환호...보드카보다 비싸도 "한 잔 더'

베트남에서 지난해 매출 412억원 올려

베트남, 캄보디아 연 평균 성장률 26%, 43% 달해





우리나라 소주가 ‘젊은 국가’ 베트남, 캄보디아에서도 많게는 연간 많게는 40% 이상 성장하며 해외에서 'K소주'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알콜 도수 40도 이상 독주 중심의 증류주 시장에서 소주는 저도주 증류주로 자리매김하며 한국식 증류주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베트남, 캄보디아의 MZ세대를 공략해 동남아시아 시장 성장세를 가속화할 방침이라고 17일 밝혔다. 2016년 ‘소주 세계화’를 선언한 하이트 진로는 일본을 시작으로 미국, 캐나다, 중국 등에 이어 이번에 동남아 시장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베트남에서 하이트진로 소주 매출은 2016년 163억원에서 지난해 412억원으로 연 평균 26%성장했고, 캄보디아는 같은 기간 28억원에서 117억원으로 연 평균 43%컸다. 베트남에서 소주는 고급술로 인식된다. 식당에서 8만동(약 4,000원)정도에 팔리는데 6만동(3,000원) 가량인 보드카보다 비싸다. 하지만 숙취가 적고 깔끔한 맛과 한류 이미지까지 더해져 인기가 높다.

관련기사



하이트진로는 올해도 MZ세대를 공략할 마케팅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하이트진로는 지난 1월 베트남 박닌(Bac Ninh)시 번화가에 ‘진로비비큐(JINRO BBQ) 2호점’을 열었다. 한류와 더불어 한국 소주 문화에 관심도가 높은 푸느떤떠이(1990년대에 태어난 고소득 여성층)를 공략하기 위해서다. 진로비비큐는 현지 프랜차이즈 경험이 있는 업체가 담당하고 있으며, 진로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지점 확대도 검토 중이다.

캄보디아에서도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과 충성도가 높은 점에 주목해 다양한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다. 가정 채널 내 진로(JINRO) 전담 인력을 배치해 매장 제품 관리에 집중할 뿐 아니라, 캄보디아 현지 거래처에서는 진로 제품이미지로 랩핑한 롤스로이스 차량으로 거리 홍보에 나서 주목받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2017년부터 캄보디아 최대 명절인 ‘쫄츠남(Chaul Chnam)’을 맞아 ‘JINRO 360 EDM 페스티벌’ 등 대형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등 한국의 소주를 알리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현재 아이유를 모델로 TV광고와 SNS홍보 등 온,오프라인 전방위에 걸친 마케팅을 적극 진행 중이다.

황정호 하이트진로 해외사업 총괄상무는 “소비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젊은 소비자층을 집중 공략하고 시장을 확대해갈 계획”이라며 “진로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소주세계화 전략을 통해 올해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해외 80여개국에 소주 제품을 판매 중인 하이트진로는 소주 세계화를 위해 외국인들이 비교적 발음하기 쉬운 ‘진로’로 해외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판매 제품으로는 참이슬후레쉬, 참이슬오리지널, 진로이즈백, 에이슬시리즈(자몽에이슬, 자두에이슬, 청포도에이슬, 자두에이슬, 딸기에이슬), 일품진로, 진로25 등이 있다.

/김보리 기자 boris@sedaily.com


김보리 기자 bori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