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車보험 진료비, 한방 병원만 폭증… 지난해 전체의 절반

병의원 진료비, 5년간 2.7% 증가하는데 그쳐

한방 진료는 매년 20%대 늘면서 3배로 폭증





교통사고 경상환자가 주로 이용하는 한방진료가 지난해 전체 자동차보험 진료비의 절반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신현영 의원이 손해보험협회로부터 받은 '자동차보험 진료비 구성'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한방 진료비는 2019년보다 15.8% 늘어난 1조1,084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교통량이 감소하면서 자동차보험에 접수된 사고가 2019년(776만8,244건)보다 60만건 넘게 줄었지만 한방 진료비는 되레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병의원 교통사고 진료비는 1조2,305억원으로 2.1% 감소했다. 병의원 진료비는 2015년(1조1,981억원)과 비교해도 2.7% 느는 데 그쳤다.

관련기사



하지만 자동차보험 한방 진료비는 2015년 3,576억원에서 20%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5년만에 3배로 팽창, 지난해 전체 자동차보험 진료비 2조3,389억원의 절반 수준(47.4%)으로 확대됐다.

지난 5년간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자동차보험 한방진료비는 병의원 진료비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교통사고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고 병의원 교통사고 진료비는 정체 상태지만 한방진료비만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이다. 보험분야 전문가들은 허술한 자동차보험 진료비 기준, 한방병의원과 환자의 '과잉' 진료·이용 성향을 한방 진료비 급증 원인으로 꼽는다.

신현영 의원은 "병의원에서 교통사고 환자 진료는 특정한 과목 의료진에 의해, 표준지침에 따라 이뤄지는데 한방병의원에는 이러한 통제 기제가 미흡하다"며 "심층적인 실태조사를 벌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방 진료비에 대해서도 통제 기전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현진 기자 stari@sedaily.com


김현진 기자 star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