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예견된 결과'라지만…경계심 높이는 정부·한은

김용범 차관·이승헌 부총재 회의

美 언제든지 긴축으로 유턴 가능

"외환시장 안정화 대책 신속 마련"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 / 연합뉴스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 /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2023년까지 기준금리 동결을 시사했지만 정부와 한국은행은 오히려 경계심을 높이고 있다. 조 바이든 정부 초기 연준이 경기 부양에 초점을 맞추지만 경제 여건 변화에 따라 언제든지 출구로 방향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미국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관련 부내 점검 회의를 갖고 “국채시장에서 수급 부담과 맞물려 변동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시장 안정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지속되는 가운데 실제 경제지표 및 정책 대응 등에 따라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경계심을 갖고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라”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이날 한은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FOMC 회의 결과에 따른 미 금융시장 동향과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 및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한은은 이번 FOMC 회의 결과가 시장의 예상과 다르지 않았으나 향후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시장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와 한은은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즉각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정부는 거시경제금융회의 등을 통해 관계 부처·기관과 함께 국내외 경제·금융 상황과 대응 방안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다. 한은도 필요할 경우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대한 안정화 대책을 신속하게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한은은 지난 16일 국채금리가 급등하자 통화안정증권 발행 물량을 절반으로 축소하는 등 금리 안정화 조치에 나선 바 있다. 통안증권 발행 규모가 축소되면 채권시장에 발행 물량이 줄어 채권 값이 상승(채권금리는 하락)한다.

시장에서는 향후 경제 여건 변화가 실제로 일어날 경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을 한참 전에 알려주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경제지표에 따라 변동성이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연준이 전망에 기초해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것을 명확히 했지만 시장 참가자들이 이에 적응하고 신뢰를 형성하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향후 2~3년은 불확실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세종=황정원 기자 garden@sedaily.com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세종=황정원 기자 garde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