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김기선 광주과기원 총장, 거액 겸직 논란으로 중도 사퇴

학교 센터장들 겸직…2년간 2억7,000여만원 별도로 받아

대학 정관상 가능·정부 승인에도 불구 도덕적 논란 불거져

김기선 광주과기원 총장김기선 광주과기원 총장




총장직을 수행하며 연구비를 타다가 노조의 반발에 부딪힌 김기선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이 18일 전격적으로 사의를 표명했다. 과학기술특성화대 총장의 임기는 4년(연임도 가능)으로 김 총장은 2023년 3월까지의 임기 중 절반만 소화한채 불명예 퇴진하게 됐다.



광주과기원은 18일 “총장과 부총장단이 최근 논란에 대해 사의를 표명했다”며 “지스트 구성원 간 서로 화합해 기관 본연의 목적인 과학기술 인재 양성과 연구의 산실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앞서 광주과기원 노조는 “김 총장이 지난 2년간 총급여 4억여원 외에 3억원 이상의 연구수당과 성과급을 챙겼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정관 상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2019년 4월 총장 취임 뒤에도 정보통신융합연구센터장과 전자전특화연구센터장을 겸직하며 연구수당으로 모두 2억3,900만원을 받은 게 도덕적으로 타당하냐는 것이다. 여기에 김 총장은 연구개발능률성과급으로 지난해 3,300만원을 따로 받았다. 김 총장의 연봉은 2019년과 2020년 잇따라 인상돼 현재 2억여원이다.

앞서 노조는 최근 직원 223명 중 176명이 총장 중간 평가를 실시한 결과, 100점 만점에 평균 평점 35.20점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200여명의 교수 중 일부에서 매년 학과별 교수 상대 평가에서 하위 10%는 최하위 등급(C등급)을 받아 성과급에서 불이익을 본다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광주과기원 측은 “정관에는 총장도 교원 및 연구원을 할 수 있다. 김 총장은 정부에서 승인 받아 연구책임자로서 과제를 수행했다”며 “여하튼 논란이 불거져 사퇴했는데, 앞으로 교수 투표와 총장추천위원회 추천, 정부 승인을 거쳐 후임 총장이 임명될 것”이라고 밝혔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