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비핵화·中 견제 빠진 한미 '2+2 회담'

[외교·국방수장 이견만 노출]

北 탄도미사일 해결 등만 재확인

빅이벤트에 '동맹 정상화'는커녕

바이든 전략에 후순위 밀려날수도

정의용(왼쪽 세번째) 외교부 장관과 서욱(오른쪽) 국방부 장관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토니 블링컨(왼쪽 두번째) 미국 국무장관,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과 한·미 외교·국방 장관회의 리셉션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정의용(왼쪽 세번째) 외교부 장관과 서욱(오른쪽) 국방부 장관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토니 블링컨(왼쪽 두번째) 미국 국무장관,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과 한·미 외교·국방 장관회의 리셉션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한미 ‘외교·국방장관(2+2) 회담’에서 한미 정부가 북한 비핵화와 중국의 위협에 대해 극명한 시각 차만 드러냈다. 양국 장관이 공동성명서에 북한 비핵화와 중국에 대한 표현을 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이 바이든 정부의 동맹 전략에서 후순위로 밀려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에서 토니 블링컨(왼쪽) 미국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오른쪽) 미국 국방장관을 접견하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저녁 출국했으며 오스틴 장관은 하루 뒤인 19일 출국한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에서 토니 블링컨(왼쪽) 미국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오른쪽) 미국 국방장관을 접견하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저녁 출국했으며 오스틴 장관은 하루 뒤인 19일 출국한다. /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등은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한미 동맹과 지역·글로벌 이슈에 대한 입장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양측 장관은 “북한 핵·탄도미사일 문제가 동맹의 우선 관심사임을 강조하며 이 문제에 대처하고 해결한다는 공동의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러나 양국 장관이 대북 입장에 대해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해 이날 채택된 공동성명서에는 바이든 행정부가 강조한 ‘북한의 비핵화’라는 표현도 빠졌다. 양국 장관은 성명서에서 “한미 간에 완전히 조율된 대북 전략 아래 다뤄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현재 진행 중인 미국의 대북 정책 검토와 관련해 고위급 협의를 계속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국에 대한 이견도 그대로 드러났다. 미국은 앞서 열린 미일 2+2 회담에서 중국을 콕 집어 민주주의 체제의 위협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이날 성명서에는 ‘중국’이라는 말이 아예 들어가지 않았고 ‘국제 질서를 훼손하고 불안정하게 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는 표현으로 갈음했다. 윤덕민 전 국립외교원장은 이와 관련해 “이번 회담에서 미국의 목적은 중국 견제라고 판단되는데 한미 간 중국에 대한 인식 차를 확연히 알 수 있었다”며 “북한을 바라보는 인식에서도 한미 간에 차이를 보였는데 미국 정부가 이 점을 다시 확인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강동효 기자 kdhyo@sedaily.com, 민병권 기자 newsroom@sedaily.com, 김혜린 기자 rin@sedaily.com


강동효 기자 kdhyo@sedaily.com·민병권 기자 newsroom@sedaily.com·김혜린 기자 r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