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신규확진 연일 400여명씩 나와…확산세 억제에 고군분투"

전국 이동량 증가 추세…"밀집·밀접·밀폐장소 방문 피해달라"

외국인근로자 검사 논란에 "적극적으로 검사 받도록 한 조치"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연합뉴스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연합뉴스




정부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400명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일상 곳곳의 집단감염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최대한 확산세를 억제하고 있지만, 더욱 (확산세를) 감소를 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여전히 고군분투 중"이라고 강조했다.



윤 반장은 "개인 간 접촉에 의한 감염도 집단감염에 못지않게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다중이용시설이나 사업장, 일상생활에서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라며 "최근 봄 날씨에 여러 모임 계획이 있겠지만, 밀집·밀접·밀폐된 장소 방문은 가급적 삼가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정부도 이번 주부터 내달 4일까지 매주 화요일과 일요일에 2∼3개 기초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확대 중대본 회의를 열고, 지역별 코로나19 유행 동향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14일 오전 경기도 수원역 광장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선별진료소에 시민들과 경기도 내 외국인 근로자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14일 오전 경기도 수원역 광장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선별진료소에 시민들과 경기도 내 외국인 근로자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최근 하루 신규 확진자 규모는 300∼400명대 구간에서 정체를 보이다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이날 0시 기준 지난 1주일(3.13∼19) 국내 발생 환자는 총 2,945명으로 하루 평균 420.7명이다. 이 중 수도권은 직전 주(3.6∼12) 312.9명에서 10.3명 감소한 302.6명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전국 400∼500명 이상 등) 범위에 속해 있다. 비수도권은 118.1명이다.

관련기사



봄철을 맞아 이동량도 증가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당국이 지난 16일 화요일 휴대전화 이동량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1,801만건, 비수도권 1,471만건 등 총 3,272만건으로 집계됐다. 1주일 전인 9일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0.3%(6만건), 비수도권은 1.4%(20만건) 늘었으며, 전국적으로는 0.8%(26만건) 증가했다.

최근 6주간 매주 화요일의 휴대전화 이동량을 분석해보면 수도권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완화된 지난달 23일 이후 4주 연속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비수도권도 최근 2주 연속 이동량이 증가했다.

방역수칙을 어겨 적발되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윤 반장은 "전날에만 61건의 방역수칙 위반 사례가 발생해 24건에는 행정명령 처분을 내리고, 37건은 계도 조치를 했다"며 "지난해 12월부터 6,600여건의 방역수칙 위반에 따른 조치가 있었고, 이 중 고발은 362건, 행정명령은 1,000여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한편 윤 반장은 서울시가 시행하는 외국인 근로자 대상 전수검사가 일부 공장 근로자에만 적용되고 있다는 논란에 대해 "외국인을 차별적으로 대우하겠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외국인들이 더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하던 중 나온 조치"라고 해명했다. 앞서 서울시는 외국인 노동자를 1명이라도 고용한 고용주와 해당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행정명령을 내린 상태다.

윤 반장은 "최근 설 연휴 이후 수도권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중심으로 확진자 비율이 약 2배 이상 증가했다"며 "다수의 외국인이 국내 방역조치에 대한 정보의 접근성이 느리고, 의사소통 문제로 검사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있을 수 있어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독려하는 차원에서 시행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