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소방, 아파트 옥상 피난안내 강화 특별시책 추진

옥상 출입문 피난안내표지판옥상 출입문 피난안내표지판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아파트 고층 거주자가 화재 시 옥상으로 쉽게 대피할 수 있도록 옥상 출입문 피난안내표지판을 설치하는 등 피난안내 강화 특별시책을 추진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도 소방재난본부가 지난해 10월 14일부터 지난달 20일까지 경기 도내 아파트 4만1,621개동을 조사한 결과 옥상 대피공간이 설치된 곳은 3만5,124개동(84.4%)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도 소방재난본부는 지자체와 관할 소방서에 피난 경로 이탈방지 펜스 등 설치, 옥상 출입문 안전관리 실명제(연락망) 표지 부착, 엘리베이터 모니터 활용 피난 안내 등 안전대책 추진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또 아파트 관계자들과 대책회의를 열어 자동개폐장치 설치를 권고하는 등 관계부서가 공조한 피난 안전성 향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여주시는 피난안내선 설치비용을 지원해 관내 아파트 174개동에 설치하는 등 피난안내 강화를 위한 지자체의 참여도 활발해지고 있다.

관련기사



도 소방재난본부는 화재 등 비상 시 옥상 출입문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피난안내표지판 1만1,065부를 자체 제작해 도내 아파트에 배부했다. 시흥시는 자체적으로 1,000부를 제작해 현재까지 3만5,124개동 중 32.4%인 1만1,395개동에 안내표지판 설치가 마무리됐다.

옥상 출입문 자동개폐장치는 3만5,124개동 중 44.8%인 1만5,744개동에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개폐장치는 건물의 화재 탐지 설비와 연결해 평소 잠겨 있던 옥상 출입문을 화재 등 비상 시 자동으로 개방하는 장치다.

도 소방재난본부는 2016년 2월 이전 지어진 아파트는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할 의무가 없는데다 설치비용과 미관상의 이유 등으로 입주민 간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미설치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옥상 출입문 안내표지판과 피난안내선, 자동개폐장치를 적극적으로 설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