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코로나 확산에…지난해 1억5,000만명 저소득층 됐다

중산층, 1990년대 이후 첫 감소







지난해 신종 코로나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개발도상국 가구 3분의 2의 수입이 줄어들면서 전 세계 중산층 인구가 1990년대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현지 시간 18일 미국 조사연구 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세계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루 수입이 10∼50달러 사이인 전세계 중산층 인구는 25억 명으로 전년보다 9,000만 명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 하루 수입이 50달러 이상인 상류층에서 중산층으로 떨어진 인구도 6,200만 명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퓨리서치센터는 실제로 중산층에서 탈락한 인구는 1억5,000만 명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이 기관은 하루 수입이 2달러에 못 미치는 빈곤층이 1억3,100만 명 가량 증가했을 것으로 봤다.

관련기사



블룸버그는 퓨리서치센터의 추정치가 맞다면 1990년대 이후 중국과 인도 등의 경제성장에 힘입어 매년 증가세를 보여온 전세계 중산층의 확대 추이가 일단 마침표를 찍은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이뤄진 퓨리서치센터의 다른 분석에서 하루 10∼20달러를 버는 계층은 2011년 전세계 인구의 13%였으나 매년 5,000만명가량씩 늘어 2019년 세계 인구의 18% 수준까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된 바 있다.

한편 세계은행이 34개 개발도상국 4만7,000가구를 설문 조사해 지난 15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응답 가구의 36%가 지난해 실직을 경험했고 약 3분의 2는 수입이 감소했다.

세계은행은 이 조사 결과 보고서에서 전세계 빈곤의 증가는 1997∼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라면서 올해도 빈곤층이 늘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세계은행은 하루 1.90달러에 못 미치는 생활비로 살아야 하는 극빈층이 지난해 최대 1억2,400만명 증가했으며 올해도 최대 1억6,300만명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세계은행은 지난해 9월 기준 선진국들은 국내총생산(GDP)의 7.4%를 경기부양과 피해 지원을 위해 썼지만 신흥 시장 국가들은 3.8%, 저소득 국가들은 2.5%만 각각 사용했다면서 경제 회복 속도도 차이가 날 것으로 우려했다.

/이지윤 기자 lucy@sedaily.com


이지윤 기자 luc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