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금감원 "옵티머스·디스커버리 등 피해 구제 상반기내 가시화 "

사모펀드 전수 점검도 마무리 계획

옵티머스 펀드 사태 관련 2차 제재심의위원회가 열린 지난 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옵티머스 피해자들이 옵티머스 펀드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과 수탁사인 하나은행에 대한 중징계를 촉구하고 있다./연합뉴스옵티머스 펀드 사태 관련 2차 제재심의위원회가 열린 지난 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옵티머스 피해자들이 옵티머스 펀드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과 수탁사인 하나은행에 대한 중징계를 촉구하고 있다./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올해 상반기까지 사모펀드 전수 점검을 마무리하고 옵티머스·디스커버리·헤리티지·헬스케어 펀드에 대한 피해 구제가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21일 “옵티머스·헤리티지·디스커버리·헬스케어 등 소비자 피해가 큰 사모펀드를 중심으로 신속히 피해 투자자를 구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들 네 펀드와 라임 펀드의 환매 연기 규모는 총 2조 8,845억 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펀드 환매 중단액 중 42%를 차지한다.

관련기사



옵티머스 펀드는 4월 초, 헤리티지·디스커버리·헬스케어 펀드는 올해 상반기 중 피해 구제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라임 펀드 피해 구제에서 활용했던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 △사후정산 방식 손해배상 △판매사 사적화해 등의 방법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이 방식을 통해 환매액이 1조 4,000억 원에 달하는 라임 펀드에 대해 1조 1,000억 원 규모의 피해 구제를 이끌어냈다.

사모펀드 전수 점검도 올해 상반기까지 마칠 계획이다. 자산 운용업계는 지난해 8월부터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9,043개를 대상으로 자율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체 펀드 중 81.9%에 대해 자율 점검을 마쳤는데, 아직까진 중대한 특이 사항이 보고된 바 없다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예금보험공사와 함께 진행하고 있는 전문사모운용사 전수검사에서도 아직까지 대규모 불법운용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


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