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도, 해상풍력사업 추진 동력 강화 위한 해법 찾는다

주민참여형 사업모델 개발 등 연구 용역 발주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월 5일 전남 신안군 임자2대교에서 열린 '해상풍력단지 투자협약식'에서 참석자들과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 제공=전남도청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월 5일 전남 신안군 임자2대교에서 열린 '해상풍력단지 투자협약식'에서 참석자들과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 제공=전남도청




전남 신안군 앞바다에 조성 예정인 해상풍력발전단지 조감도. /사진제공=전남도전남 신안군 앞바다에 조성 예정인 해상풍력발전단지 조감도. /사진제공=전남도


전라남도가 해상풍력발전사업에 대한 지역 주민의 반대를 극복하고 추진 동력을 강화하기 위한 해법 찾기에 나섰다. 그동안 지역 어업인들을 중심으로 해상풍력발전사업이 생태계 교란 및 어획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반발이 나왔다.



21일 전남도에 따르면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해 주민참여형 사업모델 개발, 발전사의 지원사업, 지역발전기금 조성 등을 연구하는 용역이 오는 4월께 발주될 예정이다. 전남도는 지역 주민 반대를 극복하기 위해 해상풍력발전사업과 지역 어업 간 상생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그동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과정은 개발 사업자가 입지를 선점해 풍황 계측기를 설치하고 산업통상부에서 발전 허가를 받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에 해당 지역 어업인들이 반발하면서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이어져 왔다. 이에 전남도는 최근 16개 연안 시군과 해상풍력 공동운영지침 마련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해상풍력발전사업 초기 단계부터 실질적 이해 당사자인 지역 주민의 의견 수렴을 강화하고 적정 입지 발굴 등을 통해 지자체. 지역 주민, 발전사의 상생을 이룬다는 목표다. 운영지침에는 민관협의회 구성 운영과 주민 이익공유 방안이 포함됐다. 민간협의회는 해당 지자체 및 주민 대표, 발전사, 전문가 등 20여명으로 구성된다.

김신남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해상풍력발전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주민 수용성 확보가 절실하다”며 “어업인의 신규 양식 기술 개발, 해상풍력발전단지와 연계한 주민 수익사업 개발 등을 통해 해상풍력과 수산업의 공존을 위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선덕 기자 sdkim@sedaily.com


무안=김선덕 기자 sdk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