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중국사 다시 써야 할 수도"…쓰촨서 3,000년전 황금가면 출토

쓰촨에서 발견된 수천년 전 황금가면./쓰촨성 싼싱유적지 박물관 웨이보 캡처쓰촨에서 발견된 수천년 전 황금가면./쓰촨성 싼싱유적지 박물관 웨이보 캡처




쓰촨에서 발견된 수천년 전 황금가면./신화연합뉴스쓰촨에서 발견된 수천년 전 황금가면./신화연합뉴스


중국 쓰촨성의 고대 유적지에서 희귀한 황금 가면이 출토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문명 발원지인 중원과 떨어진 쓰촨성에서 고도로 정교한 유물이 발견되면서 중원 중심의 중국 고대사가 새로 쓰일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문화재 당국은 20일 쓰촨성 청두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규모 발굴 작업 결과 싼싱두이 유적지의 '제사갱' 6곳에서 황금 가면, 청동기, 옥기, 상아 장식품 등 유물 500여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특히 3,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가면은 얼굴 한쪽 부분 일부가 사라졌지만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발견됐다. 이 가면의 크기는 폭과 높이가 각각 23㎝, 28㎝이며 무게는 280g가량이다. 금 순도는 약 84%로 조사됐다.

학계는 중국 역사 본류와 거리가 있는 싼싱두이 유적지에서 제사장이 종교의식 때 썼을 가능성이 있는 황금 가면을 비롯한 정교한 유물들이 대거 나온 데 주목하고 있다. 이 유적지는 신석기부터 고대 은나라에 해당하는 시기까지 약 2,000년에 걸친 시대의 흔적을 보전한 곳이지만 아직 학계에선 미스터리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SCMP는 "여기서 발견된 유물들은 후대의 중국 문화와는 눈에 띄는 연관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누구도 이곳 유물의 상징을 해독해내지 못했다"면서 "미스터리한 문명의 보물들은 중국의 역사를 새롭게 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쓰촨성에서 출토된 공예품을 근거로 기존의 중원 중심 역사관이 뒤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쓰촨성은 지리적으로 중국 역사의 중심지로 여겨지는 중원과 산맥으로 분리돼 있어 이 지역 일대가 중국 역사에 본격적으로 편입된 것은 기원전 316년 진나라에 정복된 이후부터로 알려져있다.

/김기혁 기자 coldmetal@sedaily.com


김기혁 기자 coldmeta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