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환경부, 쓰레기 불법 해외 수출 원천 차단한다





다음달부터 폐기물 수출업자들은 폐기물 수출 때 보증보험에 가입하거나 보증금을 예탁해야 한다. 한국환경공단은 폐기물수출입안전관리센터로 지정돼 수출 폐기물의 통관 검사를 맡게 된다.



환경부는 23일 이같은 내용의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4월 1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법 개정은 지난 2018년 국내 생활폐기물 5,100톤이 필리핀으로 수출돼 국제적 환경 분쟁으로 비화됐던 사건 재발을 막기 위해 마련됐다. 당시 환경부는 이 폐기물을 전량 국내로 반입해 소각 처리한 바 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통관 업무를 맡게 되는 한국환경공단은 오는 2024년까지 전체 통관 건수의 10%를 직접 검사할 계획이다. 또 수출자들은 수입국에서 최종 통과되기 전까지 선적일, 선박번호, 하역일 등 추가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또 지난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폐기물 국가 간 이동법 개정안도 내달부터 시행된다. 법 시행에 따라 앞으로는 폐기물 취급자와 사업장폐기물 배출자만 폐기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자격요건이 강화된다. 다만 환경 오염 유발 가능성이 낮은 폐지 수출업자는 환경부 장관이 별도로 자격을 고시해 수출 허가 장벽을 낮추는 방안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다.

홍동곤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폐기물 불법 수출입을 예방하기 위한 바젤협약에 따른 국제적 합의가 지켜질 수 있도록 폐기물수출입안전관리센터 지정, 보증금 예탁제도 등을 시행하는 만큼 관련업계에선 법령 개정안에 유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세종=서일범 기자 squiz@sedaily.com


세종=서일범 기자 squiz@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