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원시, 2029년까지‘팔달문 성곽잇기 사업’…토지매입·보상 진행





수원시는 25일 수원화성 원형복원을 위해 ‘팔달문 성곽 잇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현재 복원사업 대상지 토지 보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팔달로2가 일원 2422.7㎡(1~3구역, 13필지)은 보상을 완료했다. 387.2㎡(4구역, 2필지)는 올해 5월 경기도지방토지수용위원회에 ‘수용재결’을 신청할 계획이다. 수용재결 결정에 따라 6~7월에 수용재결 금액을 공탁하고, 소유권을 이전할 예정이다.



수원화성 문화재구역 정비사업의 하나인 ‘팔달문 성곽 잇기’는 국고보조사업으로, 일제 강점기에 도로를 내기 위해 철거한 남수문~팔달문~팔달산 사이 성곽(길이 304m)을 복원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보상이 완료되는 대로 철거된 성곽과 적대(敵臺) 2개소, 남암문, 남공심돈을 복원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화성성역의궤’ 등 문헌과 1911년 지적도를 바탕으로 문화재청 사적분과위원회의 심의를 받았고, 2004년 ‘수원화성 문화재구역’을 지정한 바 있다. 지난 2017년 시작한 1단계 사업(팔달문~남수문 구간 1만1,512㎡) 보상은 2024년 마무리하고, 2단계 사업(팔달문~팔달산 구간 9,849㎡) 보상은 2025년 시작해 2029년 완료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2,500억여 원 가운데 보상비가 70%(1751억여 원)를 차지한다.

복원을 위한 토지매입 대상 구역은 총면적이 2만1361㎡(133필지)이다. 수원시는 문화재청 ‘사적정비편람’과 자체 계획인 ‘수원화성 지구단위계획’·‘수원화성 중장기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토지매입(보상)을 진행하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팔달문 성곽이 이어지면 정조대왕이 건립한 수원화성의 원형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