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산 로열티를 줄여라"…K-품종 육성 나선 대형마트

서울 중구 봉래동에 위치한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고객이 국산 품종 쌀인 '친들미'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롯데마트서울 중구 봉래동에 위치한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고객이 국산 품종 쌀인 '친들미'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롯데마트




농산물 품종에 국산화 바람이 불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우리 땅에서 재배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산 품종에 대한 사용료 부담이 갈수록 커지자 대형마트가 종자 개발 단계부터 참여 계약 재배를 통해 'K-품종' 육성에 발 벗고 나섰다.



롯데마트는 'K-품종 육성 프로젝트'를 통해 올해 국산 품종 농산물을 41개에서 131개로 확대하고, 매출액 1,000억 원을 달성하겠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전국 각지의 사정에 눈이 밝은 산지 상품기획자(MD)를 10명에서 16명으로 늘려 각 지역별로 신상품을 발굴할 계획이다. 또 종묘사와 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해 종자 개발 단계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특히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국산 품종의 농산물의 경우 구매를 약속하는 ‘계약 재배’를 통해 농가에 안정적인 판로와 소득을 제공하는 등 농민들이 국산 품종 생산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롯데마트가 K-품종 육성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외국으로 빠져나가는 사용료를 줄이고, 어렵게 개발된 우리 품종이 사장되지 않도록 유통 판로를 확보해주기 위해서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외국산 품종에 대한 사용료로 버섯 연 40억 원, 양파 연 30억 원 등을 지불해 농가에 타격이 컸다.

관련기사



이에 롯데마트는 지난해부터 국산 품종 농산물을 대거 선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산 신품종 '블랙위너수박'은 3자 협업모델(롯데마트, 우수농가, 종묘사)을 통해 탄생한 상품으로 과피가 얇고 당도가 높아 지난해 6~7월 2개월 동안 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충남 서산에서 재배되고 있는 '친들미' 쌀도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12억 원 가량 판매 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정재우 롯데마트 상품본부장은 "국산 품종은 외국 품종과 달리 사용료가 없어 농가 소득에 보탬이 된다”며 “우수한 국산 품종 상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주 기자 parkmj@sedaily.com


박민주 기자 parkmj@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