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신장 면화' 불매에…"휴고 보스의 '두 얼굴'" 논란 일파만파

웨이보·공식 홈페이지 서로 '다른 말' 지적…中 분노 확산

H&M 신장 면화 사용 중단 결정·휠라 지역마다 다른 대응





신장 위구르 인권 문제에 우려를 표한 외국 기업들에 대한 중국 내 불매 운동이 확산하는 가운데 독일 의류 브랜드 '휴고 보스'의 모순된 행보에 ‘두 얼굴’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고 홍콩 명보가 28일 보도했다.

명보에 따르면 휴고 보스는 지난 25일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 공식 계정에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하며 신장 면화를 계속해서 구매하고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 매체 환구망(環球網)은 휴고 보스가 웨이보에 올린 안내와는 달리 공식 홈페이지에는 신장 인권과 관련해 전혀 다른 입장을 표명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휴고 보스는 27일 웨이보에 올렸던 안내를 삭제했다. 대신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있는 "강제 노동은 용납할 수 없다. 신장 지역에 관한 보도에 근거해 현재 해당 지역 원자재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의 공급망 가이드라인 링크를 올려놓은 상태다.

관련기사



명보는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중국 본토 누리꾼들이 분노했고, 휴고 보스의 중국 모델인 리이펑, 주정팅, 왕린카이가 즉시 계약 해지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H&M과 나이키 등 일부 글로벌 패션 브랜드가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강제 노동에 우려를 표하며 신장에서 생산한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후 중국에서 이들 브랜드에 대한 불매 운동이 거세게 일고 있다. /AP연합뉴스H&M과 나이키 등 일부 글로벌 패션 브랜드가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강제 노동에 우려를 표하며 신장에서 생산한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후 중국에서 이들 브랜드에 대한 불매 운동이 거세게 일고 있다. /AP연합뉴스


한편 스포츠 브랜드 휠라(FILA)는 지역마다 다른 대응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의 '휠라 차이나'는 25일 자사 제품이 신장 면화를 사용하고 있다면서 면화산업 비영리단체인 ‘더 나은 면화 계획(BCI·Better Cotton Initiative)’에서 탈퇴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H&M 등은 '더 나은 면화 계획'이 신장 면화에 대한 승인을 중단했다는 점을 근거로 신장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렸다. 대만의 '휠라 타이완'은 26일 자사 제품에 대만에서 생산된 면화와 남아시아에서 생산된 원료를 사용하고 있다며, 중국 본토 시장과의 관계를 끊겠다고 밝혔다.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