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밴드 추다혜차지스 “‘국악’ 아닌 무가(巫歌) 바탕 새 음악… 굿의 펑키함 전하고 싶어”

펑크·재즈 랩·무속음악 절묘한 조화

마포문화재단 공연서 도당굿 오마주

밴드 추다혜차지스의 공연 모습. /사진제공=마포문화재단밴드 추다혜차지스의 공연 모습. /사진제공=마포문화재단




“저희 밴드가 하는 음악에 대해 저희는 무가(巫歌·무속인이 굿을 하며 구연하는 사설과 노래)를 토대로 한 새로운 음악이라고 소개하죠. 크로스오버나 퓨전 국악 정도로 분류되는 게 아쉽거든요. 지난 달 개최됐던 한국대중음악상에서 R&B·소울 부문 후보에 올랐었는데, 그게 오히려 맞는다고 생각해요”(밴드 추다혜차지스의 리더, 추다혜)



지난해부터 판소리·민요 등 각종 국악 장르와 현대의 대중음악을 섞어 만든 ‘퓨전 국악’ 뮤지션들이 잇따라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작년 5월 1집 ‘오늘 밤 당산나무 아래서’로 데뷔한 밴드 추다혜차지스도 그렇다. 이들은 앨범 수록곡 ‘리추얼 댄스’(Ritual Dance)로 지난달 열린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올해의 R&B·소울 노래’를 수상하며 작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선정위원회는 이 곡에 대해 “펑키한 연주 위에 무가가 얹어진, 전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놀라운 음악”이라며 “펑크와 90년대 재즈 랩, 무속 음악이 한데 어우러져 벌이는 난장은 황홀한 음악적 경험”이라고 평가했다.

밴드 ‘추다혜차지스’. 왼쪽부터 기타 이시문, 보컬 추다혜, 드럼 김다빈, 베이스 김재호. /사진제공=마포문화재단.밴드 ‘추다혜차지스’. 왼쪽부터 기타 이시문, 보컬 추다혜, 드럼 김다빈, 베이스 김재호. /사진제공=마포문화재단.



30일 마포문화재단이 온라인으로 공개한 ‘밤섬 부군당 도당굿 오마주’ 공연을 앞두고 최근 서울경제와 만난 밴드 멤버들은 자신들의 곡이 이렇게 흑인 음악으로 분류된 데 대해 이같이 말했다. 밴드의 리더이자 보컬을 맡고 있는 소리꾼 추다혜는 “굿을 처음 접하고 무가를 보면서 처음으로 들었던 느낌이 펑키(funky)함이었다”며 “음악적 방향성을 정하고 난 뒤에도 이런 무드를 전달할 수 있는 앨범을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 결과 이들의 음악이 처음 주목 받은 곳은 흑인 음악 커뮤니티였다.

관련기사



추다혜 외에 다른 멤버들의 생각도 비슷했다. 몇몇 곡은 초기엔 흑인 음악을 염두에 두지 않았지만 사전에 준비해 온 연주에 무가를 얹으니 자연스레 힙합 리듬이 됐다. 기타를 연주하는 이시문도 “처음 곡을 발매하며 장르를 분류할 때 크로스오버로는 넣고 싶지 않았다”며 “차라리 힙합으로 분류하는 게 어떻겠냐고 했고 멤버들도 동의했다”고 돌아봤다. 베이시스트 김재호는 “굿을 보고 나서 가장 서민적인 예술이자 잔치라는 생각이 들었다. 외국에서 프리스타일 랩을 길거리에서 하는 것 같다”며 “우리가 추구하는 색과 잘 맞는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밴드 ‘추다혜차지스’. 왼쪽부터 기타 이시문, 보컬 추다혜, 베이스 김재호, 드럼 김다빈. /사진제공=마포문화재단.밴드 ‘추다혜차지스’. 왼쪽부터 기타 이시문, 보컬 추다혜, 베이스 김재호, 드럼 김다빈. /사진제공=마포문화재단.


국악과 대중음악을 넘나드는 음악적 범위 덕에 이들은 다양한 무대에 서고 있다. 앞서 지난 25일에는 국립국악원 주최 온라인 공연 ‘사랑방중계’ 무대에 섰고, 다음 달에는 홍대 앞 클럽에서 공연이 예정돼 있다. 추다혜는 “관심을 많이 가져주시니 감사하다. 코로나 19 여파로 공연계나 대중음악계나 모두 위축돼 있는데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이 생겨 고마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스스로 충분하다 느낄 정도의 음악적 시도를 하지는 못했는데, 에너지가 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마포문화재단 공연도 그 중 하나다. 이번 공연에서 오마주하는 밤섬부군당도당굿은 한강 밤섬에 살던 주민들이 1960년대 여의도 개발의 여파로 섬이 폭파 되면서 집단 이주한 후 섬의 전통을 잇고자 행했던 마을 굿이다. 주민들 이주하자마자 가장 먼저 한 일이 신당을 짓고 굿을 하는 일이었고, 꾸준히 전승되면서 서울시 무형문화재로도 지정됐다. 추다혜차지스는 앨범 수록곡 중 한 곡에 밤섬부군당도당굿의 사설을 붙여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시문은 “평소 차를 타고 밤섬을 지나면서도 저 곳이 어떤 곳인지 궁금해서 한 번 들어가 보고 싶었을 정도”라며 “참여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violator@sedaily.com


박준호 기자 violator@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