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예고된 인플레이션…생산성 향상만이 출구다


반도체 등 제조업 부품의 공급망 병목과 원자재 값 상승, 임금 인상이 겹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고조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9일 “상당수 기업들이 비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당장 미국 테슬라는 차량용 반도체의 공급 절벽으로 일부 신차의 판매 가격을 150만 원가량 인상했다.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서 발생한 반도체 품귀는 자동차 시장의 전반을 교란하는 ‘나비 효과’를 불러올 것이다. 생활 가전과 스마트폰 분야에서도 곧 도미노식 가격 인상이 나타날 수 있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건설 공사가 재개되면서 시멘트 가격도 급등할 조짐이다. 비용 인플레이션과 코로나19 극복 기대에 따른 수요 인플레이션이 동시다발로 제조업에 타격을 주고 있는 셈이다.



산업 현장에서는 임금 인상 요구까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삼성전자 등의 높은 연봉 인상은 다른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양대 노총은 “올해가 최저임금 1만 원을 실현할 마지막 기회”라며 총력전을 예고했다. 대선을 앞두고 노동계가 표를 무기로 여권에 ‘청구서’를 또 내밀면 유례 없는 ‘하투(夏鬪)’가 벌어질 수 있다. 이런 마당에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우리 경제가 빠르고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며 또 자화자찬을 했다. 각국이 인플레이션발 긴축의 후폭풍을 차단하기 위해 부심하는데 우리만 낙관론에 빠져 있다.

관련기사



이런 상황에서 정치권과 정부는 노동 개혁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노조 반발로 현대차의 전기차 생산 라인이 멈춰선 것과 같은 퇴행적 노사 관계를 뜯어고치지 않는 한 비용 상승 압력을 버텨낼 기업은 많지 않을 것이다. 노동 유연성이 없는 우리에게 인플레이션의 파고를 넘을 방법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꼴찌 수준인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길뿐이다. 이를 위해 더 늦기 전에 노조에 일방적으로 기울어진 각종 법규를 수술대에 올려야 한다.

/논설위원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