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홍콩거래소, 비테크기업도 차등의결권 추진…쏠림현상 심화될 듯

지난 23일 중국 바이두의 홍콩 증시 상장 모습. 차등의결권 제도를 적용받았다. /로이터연합뉴스지난 23일 중국 바이두의 홍콩 증시 상장 모습. 차등의결권 제도를 적용받았다. /로이터연합뉴스




홍콩증권거래소가 ‘차등의결권’ 적용을 비(非) 테크놀로지(기술) 기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이 경우 중국 등 아시아 증시의 홍콩 쏠림 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31일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후이 홍콩 재경사무국고장관은 이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비 테크기업도 차등의결권을 이용해 홍콩 증시에 상장할 수 있도록 허용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차등의결권은 특정 주주의 보유 주식에 대해 일반 주식보다 더 많은 의결권을 부여하는 제도다. 대주주에게 우호적인 제도로 해당 증시의 상장을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최근 미국 증시에 상장한 쿠팡도 차등의결권 제도를 적용받았다. 우리나라 증시에는 아직 적용되지 않는다.

홍콩증권거래소는 지난 2018년부터 신산업이나 혁신섹터 등 일부에 대해 차등의결권을 허용하고 있다. 덕분에 홍콩 증시는 지난해 154개 기업이 상장해 총 516억달러(약 58조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후이 장관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에 대한 연구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28일 홍콩증권거래소가 스팩 상장을 연내에 허용할 전망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