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ESG가치, 화폐처럼 계량화 필요"

대한상의, ESG 경영 포럼 개최

객관적인 평가지표 수립 절실

기업 지원·인센티브 확대해야

우태희(왼쪽 두 번째)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이 8일 열린 ‘제1차 대한상의 ESG 경영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한상의우태희(왼쪽 두 번째)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이 8일 열린 ‘제1차 대한상의 ESG 경영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한상의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는 가운데 각 기업의 경영 환경에 맞게 ESG를 단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특히 ESG를 시작하는 기업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지표가 먼저 수립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8일 산업통상자원부, 법무법인 화우와 함께 ‘제1차 대한상의 ESG 경영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는 ESG 홍수 시대에 살고 있다”며 “대통령께서도 지난달 상공의 날 기념식에서 올해를 ESG 경영 확산의 원년으로 삼고, 정부도 기업들이 참여하도록 하겠다고 하신 만큼 대한상의도 역할을 해야 한다는 기대감이 있어 포럼을 열게 됐다”고 밝혔다.



주제 발표자로 나선 이근우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는 기업의 경영 상황에 맞는 ESG 수행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이 변호사는 “ESG 평가는 기업의 실제 상황과 너무 동떨어져서는 안 된다”며 “국내 기업의 ESG라는 점에서 국내 이슈가 포함될 수밖에 없으나 평가 기준의 글로벌화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변호사는 특히 단계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기업 입장에서는 표준화된 지표를 신경 쓰는 것이 물론 중요하지만 현재 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지표를 선택하고 이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제 막 ESG를 시작하는 기업의 경우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고 하기보다는 현실적인 조건에 맞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나석권 사회적가치연구원(CSES) 원장은 기업이 ESG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측정’을 제시했다. 나 원장은 “측정을 통해 ESG활동을 금전적 가치로 ‘화폐화’해 각 기업이 어디쯤 가고 있는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개별 기업의 행동 변화가 작더라도 이러한 ‘스몰’ 체인지를 ‘빅’ 체인지로 바꿔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동수 한국생산성본부(KPC) 지속가능경영추진단 단장은 한국의 산업 표준에 맞춘 ‘K-ESG’를 소개했다. K-ESG는 국내외 ESG 평가 시장 확산에 따른 시장 혼란을 해소하고 평가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난립해 있는 평가 기준을 한국 산업 표준에 따라 정리한 ESG 기준 지표다. 김 단장은 산업과 관계없이 국내 모든 기업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K-ESG를 통해 기업들의 부담도 줄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진 자유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ESG 경영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부담을 주는 ‘규제’ 관점이 아니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지원’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전희윤 기자 heeyoun@sedaily.com


전희윤 기자 heeyo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