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차이나타운 반대는 그저 ‘중국 혐오’일까…“반감 이유 살펴야”

'67만 서명' 등 국민적 반대 부른 강원도 한중문화타운

많은 지자체가 시도한 만큼 '과도한 반중' 지적 있지만

"단순 '중국 혐오' 아냐…반감 기초 살펴야 해" 주장도

"중국 관광객, 지역사회에 반드시 도움된다 볼 수 없어"

"지자체의 무분별한 '차이나타운 유치' 되돌아봐야"

청와대 홈페이지에 지난달 29일 게재된 ‘강원도 차이나타운(한중문화타운) 철회’ 국민청원. 한 달의 서명 기간동안 총 67만 780명이 서명했다. /청와대 홈페이지 캡처청와대 홈페이지에 지난달 29일 게재된 ‘강원도 차이나타운(한중문화타운) 철회’ 국민청원. 한 달의 서명 기간동안 총 67만 780명이 서명했다. /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최근 청와대 홈페이지에서 압도적인 서명 인원을 기록했던 국민청원은 다름 아닌 ‘강원도 차이나타운 철회 청원’이었다. ‘중국인 집단 거주지인 차이나타운이 아닌 중국식 테마파크 조성 사업을 하는 것’이라는 강원도의 해명에도 여론의 분노는 사그라들지 않았고, 게재 한 달 만에 67만 780명이 서명했다. 일각에서는 너무 과한 반응이라는 지적도 나오지만, 이번 사태를 단순히 최근 고조된 반중 정서의 여파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상당하다. 중국인 관광객 유치가 지역 사회에 무조건 도움이 된다는 보장이 없는데도 지금껏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이른바 ‘중국 친화형 관광 사업’을 무분별하게 추진해온 관행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27일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취임 10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있다./춘천=연합뉴스최문순 강원도지사가 27일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취임 10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있다./춘천=연합뉴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지난 27일 취임 10주년 기자회견에서 “살기가 어렵다 보니까 혐오 정서가 확산되고 있고 그것이 반중이나 반일, 강원도에 대한 공격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큰 흐름에서 문화와 사람 교류를 늘리고 혐오감정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코오롱글로벌이 강원도 춘천·홍천 일대에 인천 차이나타운 10배 규모의 ‘한중문화타운’을 조성하려던 계획이 전국적인 반대 여론에 밀려 전면 재검토 수순에 들어간 것을 두고 나온 반응이었다.



지나치게 부정적인 여론에 강원도가 아쉬움을 표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중국 친화형 관광사업을 추진하고 지원하는 일은 예전부터 자주 있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2000년대엔 경기 고양시와 전남 무안군에서, 지난 2016년엔 경기 평택시에서 유사한 사업들이 시도된 바 있다. 박기관 상지대 행정학과 교수는 “지자체, 특히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지방에서는 재정 확보와 일자리 창출에 유리하다고 여겨지는 대규모 관광·개발 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중국인 관광객의 수가 워낙 많다 보니 양국 교류를 꾀하는 사업 모델들이 계속 나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지난 2014년부터 경기도 평택의 황해경제자유구역 현덕지구에 추진됐던 중국인 친화도시 '차이나캐슬'의 조감도. 경기도는 2018년 자보금 확보 미이행 등을 이유로 '대한민국중국성개발㈜'에 대한 사업시행자 지정을 취소했다. 대한민국중국성개발은 중국 기업과 한국 기업이 함께 만든 특수목적법인(SPC)이다./연합뉴스지난 2014년부터 경기도 평택의 황해경제자유구역 현덕지구에 추진됐던 중국인 친화도시 '차이나캐슬'의 조감도. 경기도는 2018년 자보금 확보 미이행 등을 이유로 '대한민국중국성개발㈜'에 대한 사업시행자 지정을 취소했다. 대한민국중국성개발은 중국 기업과 한국 기업이 함께 만든 특수목적법인(SPC)이다./연합뉴스


문제는 이러한 사업들이 지역사회에 무조건 도움이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첫 번째따져봐야 할 것은 사업성이다. 서용건 제주대 관광경영학 교수는 “인위적으로 중국 테마파크를 조성해 성공한 사례는 국내에 거의 없다”며 “자연스럽게 중국인들을 모여들게 한 후에 사업을 구상해야지 무작정 대규모 관광단지를 건설해서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겠다는 것은 비현실적”고 지적했다. 실제로 고양, 무안, 평택에서 추진된 사업들은 사업자의 자금난 등을 이유로 모두 중간에 무산됐다.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따른 수익이 지연 주민들에게 골고루 돌아간다는 보장도 없다. 2010년께부터 중국인들의 투자가 이뤄지며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증가한 제주도가 대표적 사례다. 유일한 한국공정여행업협회 협회장은 “중국은 인맥이 워낙 중요하고 서로 모이는 문화가 있다보니 여행을 오더라도 중국인이 운영하는 호텔이나 식당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막상 지역 주민이나 현지 여행사들은 파급효과를 체감하기 힘들다는 반응이 대다수”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지자체가 무분별하게 중국형 관광 단지나 차이나타운 조성을 시도하는 관행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은 그래서다. 권용범 춘천 경실련 사무처장은 “국민들이 가진 반감의 이유를 살피지도 않고 중국 혐오라고 규정해서는 안 된다”며 “외자 유치가 지역 사회에 언제나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닌 만큼 사업성을 면밀히 따진 후에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협회장도 “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자체의 매력을 키우고 소개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먼저”라며 “지자체의 보다 성실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태영 기자 youngkim@sedaily.com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