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대북 전단 살포에…"무분별한 망동" 위험수위 높이는 北

김여정 "책임지게 될 것" 경고

"文 위기관리 능력 다시 시험대"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 서울경제DB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 서울경제DB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북 접근법으로 ‘외교적 해법’을 내놓았지만 탈북민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로 인해 남북 간 긴장 관계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북한은 전단 살포와 관련해 “불쾌감을 감출 수 없다”며 경고 담화를 발표했는데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무력 대응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통일부는 이에 대해 “북한을 포함한 어떤 누구도 한반도에서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에 대해 반대한다”고 밝혔다.



2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쓰레기’ ‘무분별한 망동’ 등 거친 표현을 쓰며 대북 전단 살포 행위를 비난했다. 앞서 탈북민 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지난달 25~29일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 비무장지대(DMZ) 인접 지역에서 대북 전단 50만 장과 소책자 500권, 미화 1달러 지폐 5,000장을 북한으로 날려 보냈다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이날 담화에서 “남조선 ‘탈북자’ 쓰레기들이 반공화국 삐라를 살포하는 용납 못 할 도발 행위를 감행했다”면서 “남조선 당국은 탈북자 놈들의 무분별한 망동을 또다시 방치해두고 저지시키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우리 국가에 대한 심각한 도발로 간주하면서 그에 상응한 행동을 검토해볼 것”이라며 “우리가 어떤 결심과 행동을 하든 그로 인한 후과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남조선 당국이 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부부장은 지난해 6월에도 두 차례에 걸쳐 대북 전단 살포를 비난한 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적 있다.

관련기사



통일부는 이와 관련해 한반도 긴장 조성 행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즉각 밝혔다. 통일부는 “정부는 남북 간 합의 이행 및 한반도 평화 진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며 “대북 전단 살포 문제와 관련해서는 경찰이 전담팀을 구성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 북한이 무력 대응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 부부장의 담화는 미국의 대북 인권 비난과 맞물리며 우려스런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며 “문재인 정부의 위기 관리 능력이 또다시 시험대에 올랐다”고 평가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가 북한 정권을 규탄하는 플랜카드를 들고 있다 / 연합뉴스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가 북한 정권을 규탄하는 플랜카드를 들고 있다 / 연합뉴스


/주재현 기자 joojh@sedaily.com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