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 이후 아동 우울·불안 증가…"극단적 선택 생각" 1.4%로 3배 늘어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청소년 1,827명 대상 조사 결과

아동·청소년 삶의 만족도 2017년 7.27점→2020년 6.93점

/연합뉴스=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제공./연합뉴스=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아동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는 떨어지고 우울감과 불안감은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본 적 있다고 응답한 아동의 비율도 코로나19 전과 비교해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은 3일 학령기 아동·청소년(초4∼고2학년) 1,825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부터 2개월간 조사한 결과를 2017년·2018년 데이터와 비교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아동·청소년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는 코로나 이전 2017년에는 10점 만점에 7.27점이었으나 2020년은 6.93점으로 하락했다. 행복감은 2017년(7.22점)과 2020년(7.24점)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우울·불안은 2018년 3점 만점에 1.17점에서 2020년 1.24점으로 소폭 상승했으며, 걱정도 1.31점에서 1.56점으로 높아졌다.

신학기 첫 등교가 시작된 3월 2일 오전 부산 동래구 내성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교실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신학기 첫 등교가 시작된 3월 2일 오전 부산 동래구 내성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교실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아동·청소년은 2018년 전체 응답자(2,510명)의 1.4%였지만, 2020년엔 4.4%로 증가했다. 스스로 평가한 건강 상태도 2018년엔 5점 만점에 4.4점이었지만, 2020년엔 3.84점으로 하락했다.

관련기사



또 아동의 행복감을 가구 소득에 따라 살펴본 결과 빈곤 가구 아이들이 느끼는 행복감이 비(非)빈곤 가구 아이들보다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비빈곤 가구 아동의 행복감은 7.47점이었지만, 빈곤 가구 아동은 6.73점으로 나타나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가정환경에 따른 행복감 격차가 드러났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에도 아동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도록 아동 균형생활 보장을 위한 지원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제훈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회장은 "재난 속에서도 우리 아이들의 행복 증진을 위해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에게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박신원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