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10년 동안 8만 7,000명 정도의 에너지 인력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2028년에는 석·박사 과정 인력을 포함해 1만 5,000여 명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3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출석해 한국에너지공과대(한전공대) 설립 이유를 이같이 강조했다. 앞서 권명호 국민의힘 의원은 지방대학 정원 미달 및 이공계 특성화 대학과의 기중첩 문제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한전공대 설립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성 장관의 “에너지 인력 수요 8만 7,000명 증가” 발언에 대해 에너지 전문가들은 현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발맞춰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필요한 인력만을 강조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 1958년 한양대와 1959년 서울대에 원자력공학과를 설치해 60년 넘게 키운 원전 인재는 미래 에너지 인력 전망에 철저히 배제됐다.
3일 통계청의 원자력발전업 종사자 수 통계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출범 전 9,426명에 달했던 원전 발전 관련 인력은 이듬해 8,453명으로 급감했다. 이 같은 감소 추세는 이후에도 계속돼 2019년 원자력발전업 종사자 수는 8,231명에 그쳤다. 정부가 2018년 월성 1호기를 조기 폐쇄한 데 이어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사실상 백지화하면서 관련 인력이 빠르게 줄었기 때문이다.
반면 전체 발전업 종사자 수는 2016년 2만 5,707명에서 2019년 2만 8,828명으로 3년 만에 11.2% 늘었다. 이 중 태양광발전업은 같은 기간 1,265명에서 3,495명으로 3배가량 증가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인력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원전 인력 감소와 신재생 인력 증가 추이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전력공사가 1조 원가량을 출연해 설립되는 한전공대는 주요 연구 분야로 △수소 △신재생 △탄소 저감 △에너지 신소재 등이 언급됐을 뿐 원자력 관련 부문은 아예 보이지를 않는다. 한전공대의 건학 이념이 ‘미래 에너지와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새로운 지평 제시’라는 점에서 원자력은 관련 이념에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미국과 영국 등 주요 국가들이 기후나 날씨 등에 발전량이 크게 좌우되는 신재생에너지의 낮은 안정성 때문에 원전 비중을 높이는 상황에서 한국의 에너지 인력 양성 정책만 거꾸로 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세종=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